학술논문
복정백차의 제다기술 기반 문화산업 활용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ltural Industry Utilization of Processing Techniques for Fuding White Tea
- 발행기관
- 문화융복합학회
- 저자명
- 박연희(Yeonhui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융복합』제6권 제1호, 55~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uding white tea, originating from Fuding City in Fujian Province, China, has gained global recognition for its refined processing methods, extended aging capacity, and increasing medicinal value. With recent designations as both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a FAO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GIAHS), Fuding white tea represents a convergence of traditional knowledge, regional identity, and industrial innovation. In contrast, Korean tea culture has largely centered on green tea, and research on white tea remains limited in both academic and commercial contexts. A comparative and strategic investigation into the case of Fuding white tea is thus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Korea’s tea culture indust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Fuding white tea as a multi-dimensional model of cultural industry, focusing on its production techniques, aging-related storage technologies, medicinal applications, and brand strategies. The research is based on document analysis of Chinese academic sources, industrial reports, and cultural heritage data. Findings reveal that the structured differentiation in cultivars, storage methods such as lime and charcoal preservation, and time-based branding (e.g., 3-year vs. 15-year products) enable Fuding white tea to function simultaneously as a traditional beverage, a medicinal product, and a premium cultural good. Its integration of tea-making, storytelling, packaging design, and experiential marketing reinforces its standing in both local economies and global markets.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Korean tea producers may adopt a similar integrative model to develop premium white tea products, combining regional cultural assets, functional health claims, and differentiated branding for global positioning.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복정백차의 제다공정과 품종 특성
Ⅲ. 저장기술과 숙성에 따른 산업적 가치 변화
Ⅳ. 음료·약효 시장에서의 응용 및 브랜드 전략
Ⅴ. 복정백차의 문화유산화 및 세계화 사례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필요성에 관한 탐색: 슬로시티 담양군을 중심으로
- 지역문화창달을 위한 지역문화진흥조례의 법적검토
- 복정백차의 제다기술 기반 문화산업 활용 연구
- 프로레슬링의 영웅서사와 감정정치: 제노포비아적 대립 구조와 국가정체성 수행의 비교문화적 분석
- 진도아리랑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성인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완화 교수전략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 교육 가능성 탐색
- 학교 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복합화 전략 연구: 국내외 실증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오페라와 연극에서의 발성과 감정표현의 비교를 통한 무대예술의 장르적 특징 연구 -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 한국 PJBL 연구의 구조적 분석 및 지역문화 기반 실천형 교수법 탐색
-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rt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A Case Study of Undergraduate Education at Zhengzhou University, Henan Provinc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