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필요성에 관한 탐색: 슬로시티 담양군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low Cities and the Need for Shared Welfare: Focusing on Slow City Damyang-gun
- 발행기관
- 문화융복합학회
- 저자명
- 임걸(Gull Lim)
- 간행물 정보
- 『문화융복합』제6권 제1호, 17~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ing need for shared welfare through the case of Damyang-gun, a designated Slow City in South Korea. As contemporary emotional trends shift toward tourism that embraces both urban and rural sensibilities, local communities are developing programs with regional governments to respond to such demands. In this context, Damyang-gun has taken a leading role in promoting sharing as a means of achieving coexistence. The study emphasizes shared welfare as a framework that leverages the area’s diverse cultural assets, natural environment, traditional food, and communal resources for both residents and visitors. By integrating the concepts of sharing economy and welfare services, the research positions shared welfare not only as an efficient use of resources but as a way to rebuild social trust, local networks, and community resilience. The case of Damyang-gun suggests that the principles of Slow City living—respect for place, time, and local identity—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sharing hubs and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s. The study concludes that establishing a sustainable model for shared welfare requires trust between local stakeholders, recognition of shared values, and online–offline platforms for community engagement. Damyang-gun's efforts to develop shared welfare hubs and resource-sharing systems provide a prototype for other local governments seeking to balance quality of life, ecological mindfulness, and inclusive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ost-growth era.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Ⅲ.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탐색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문화창달을 위한 지역문화진흥조례의 법적검토
-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필요성에 관한 탐색: 슬로시티 담양군을 중심으로
- 진도아리랑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교육 연구
- 프로레슬링의 영웅서사와 감정정치: 제노포비아적 대립 구조와 국가정체성 수행의 비교문화적 분석
- 복정백차의 제다기술 기반 문화산업 활용 연구
- 오페라와 연극에서의 발성과 감정표현의 비교를 통한 무대예술의 장르적 특징 연구 -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 성인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완화 교수전략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 교육 가능성 탐색
- 한국 PJBL 연구의 구조적 분석 및 지역문화 기반 실천형 교수법 탐색
- 학교 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복합화 전략 연구: 국내외 실증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rt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A Case Study of Undergraduate Education at Zhengzhou University, Henan Provinc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