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ourse with the Common Curriculum
- 발행기관
- 문화융복합학회
- 저자명
- 김완(Wan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융복합』제6권 제1호,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2017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22 Korean Language Common Curriculum,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former based on the findings. The comparison focuses on five core components: curricular structure, curriculum design overview, characteristics and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several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the curricular structure should be simplified.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ains content similar to the Common Curriculum, its structure is unnecessarily complex. Second, an explicit overview of curriculum design should be inclu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its curricular framework.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curriculum should incorporate elements of verbal thinking. While communication is a central goal, it is equally important to foster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expression. Fourth, the content system must be refined by clearly separating it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This distinction will enhance clarity and coherence. Furthermore, in addi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four basic language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standards for the cultural domain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the sec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require streamlining. Reducing the current four-stage process (planning, implementation, detailed execution, and application of results) to two or three stages can eliminate redundancy and improve reader comprehension. Overall, this study offers practical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reby contributing to more effective language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비교
Ⅲ.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필요성에 관한 탐색: 슬로시티 담양군을 중심으로
- 지역문화창달을 위한 지역문화진흥조례의 법적검토
- 복정백차의 제다기술 기반 문화산업 활용 연구
- 프로레슬링의 영웅서사와 감정정치: 제노포비아적 대립 구조와 국가정체성 수행의 비교문화적 분석
- 진도아리랑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성인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완화 교수전략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 교육 가능성 탐색
- 학교 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복합화 전략 연구: 국내외 실증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오페라와 연극에서의 발성과 감정표현의 비교를 통한 무대예술의 장르적 특징 연구 -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 한국 PJBL 연구의 구조적 분석 및 지역문화 기반 실천형 교수법 탐색
-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rt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A Case Study of Undergraduate Education at Zhengzhou University, Henan Provinc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