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험이 있는 곳에 구원도 자라난다”
이용수 0
- 영문명
- Wo aber Gefahr ist, wächst das Rettende auch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Jürgen Moltmann 곽혜원
- 간행물 정보
- 『신학포럼』제20호, 191~2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는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이 영국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했던 강연문을 정리한 글이다. 몰트만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과의 첫 만남인 영국군 포로 경험을 회상하면서, 바로 그것이 자신의 신학을 향한 긴 여정의 시작이었음을 밝힌다. 그러면서 그는 영국의 전쟁 포로 수용소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것에 대해 무한 감사를 표한다.
이 글의 중심 주제는 오랜 세월 많은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쳐왔던 주제, 곧 삶의 세계를 파괴하는 위협에도 불구하고 생명에 대한 사랑, 생명의 문화가 더 우위에 있다는 내용이다. 특히 오늘날 유럽에서 생명에 반하는 증오와 적개심, 테러와 죽음을 일으키는 새로운 형태의 신(新)민족주의가 인류의 미래는 물론 지구상의 생명 공동체도 파멸로 이끈다고 우려한다. 이와 함께 핵무기와 생태계 위기 또한 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이기도 하다.
이 시대에 생존을 위협하는 치명적 위험 속에서 몰트만은 인류와 지구가 함께 공동으로 살아가는 생명의 문화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특히 기독교적 생명의 문화를 확립함에 있어서 기독교적 형제애(Brüderlichkeit)가 보편적 인간 형제애로 확장된 인권과 인간성, 핵의 위협에 봉착한 시대 속에서 인류의 생명을 살리는 상호 연대, 생명을 경외하는 생태학적 생명 중심주의로의 대전환을 강조한다.
끝으로 몰트만은 인간 생명은 삶의 선물일 뿐만 아니라 인류의 과제라고 말하면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죽음의 세력에 대항하여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우리가 생명의 원천이신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 안에서 그분 가까이 거할 때, 위험이 나날이 커지는 위기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해 주실 것을 믿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영문 초록
Dieser Artikel ist eine Zusammenstellung des Vortrags von Jürgen Moltmann in der Westminster Abbey, England. Moltmann erinnert sich an seine Erfahrung als Gefangener der britischen Armee, seine erste Begegnung mit Großbritannien während des Zweiten Weltkriegs, und verrät, dass dies der Beginn seiner langen Reise in Richtung Theologie war. Gleichzeitig bringt er seine unendliche Dankbarkeit für die Begegnung mit Jesus Christus in einem britischen Kriegsgefangenenlager zum Ausdruck.
Das Thema dieses Artikels ist das, was viele Menschen im Laufe der Jahre am meisten beeinflusst hat: trotz der Bedrohung, die das Rettende zerstört Welt des Lebens. Es drückt die Tatsache aus, dass die Liebe zum Leben und die Lebenskultur überlegen sind. Insbesondere sind wir besorgt darüber, dass die neue Form des Neonationalismus, die heute in Europa Hass und Feindseligkeit gegen Leben, Terrorismus und Tod hervorruft, zur Zerstörung nicht nur der Zukunft der Menschheit, sondern auch der Lebensgemeinschaft auf der Erde führt. Darüber hinaus sind Atomwaffen und ökologische Krisen Risikofaktoren, die das Überleben der modernen Menschheit gefährden.
Inmitten der lebensbedrohlichen Gefahren unserer Zeit präsentiert Maltman als Alternative zur Problemlösung eine Kultur des Lebens, in der Mensch und Erde zusammenleben. Um eine christliche Lebenskultur zu etablieren, plädiert er insbesondere für die Menschenrechte und Menschlichkeit, die die christliche Brüderlichkeit zur allgemeinen menschlichen Brüderlichkeit ausweiten. Er betont auch die gegenseitige Solidarität, die die Menschheit in einer Zeit der nuklearen Bedrohung rettet, und den ökologischen Biozentrismus, der das Leben verehrt.
Schließlich argumentiert Moltmann, dass das menschliche Leben nicht nur ein Geschenk des Lebens ist, sondern auch eine Aufgabe der Menschheit sei, die gegen die Mächte des Todes zu leben hat, um das Leben zu schützen. Vor allem wird er betont, dass wir, wenn wir Gott, der Quelle des Lebens, in seiner ewigen Liebe nahe bleiben, daran glauben müssen, dass Gott uns auch in Situationen zunehmender Gefahren retten wird.
목차
이 시대의 치명적인 위험에 대항하는 생명의 문화
Ⅰ. 죽음의 테러
Ⅱ. 생명의 문화는 인류와 지구가 함께 공동으로 살아가는 문화이다.
Ⅲ. 생명을 살아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