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err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dentity and Grit: Focusing on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세정(Sejeong Hong) 백민정(Minjung Baek) 김명섭(Myung-Seop Kim)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2호, 25~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영재기업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정체감, 실수에 대한 인식, 그릿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차세대영재기업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242명의 학생(여학생 98명, 남학생 14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창의적 정체감, 실수에 대한 인식, 그릿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정체감과 그릿의 하위요인인 ‘노력지속’ 간의 관계에서 실수에 대한 인식 중 ‘실수로부터 학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실수 위험 감수’, ‘실수에 따른 긴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한편 창의적 정체감과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영재기업인 학생들이 실수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이들의 그릿 향상에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매커니즘에서 창의적 정체감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identity, perception of errors, and grit in gifted students enrolled in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242 students (98 female, 144 male) participating in the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hip Program took part in the study. Creative identity, perception of errors, and grit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errors as a ‘learning from error’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dentity and the grit(perseverance of effort), while ‘error risk taking’ and ‘error strain’ did not show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dentity and the grit(consistency of interest)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ly perceiving error experiences plays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grit among gifted entrepreneurship students, and that creative identity should also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this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