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가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eaching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s of growth mindset,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engagement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고혜정(Hye-jeong Ko) 안동근(Donggun A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2호, 77~9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가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 광역시, G 도 및 J 특별자치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는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을 각각 매개하여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심리욕구는 성장마인드셋과 교수효능감, 성장마인드셋과 교수몰입,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각각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와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교수몰입의 순차적 매개효과도 유의미하였다. 이는 기본심리욕구가 단순히 개인의 내적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신념과 태도를 통해 창의적인 교수행동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본심리욕구의 충족뿐 아니라, 이를 지지하는 신념 체계와 교수 태도의 형성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s of belief factors (growth mindset and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inal factors (teach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ir teaching creativity.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 Metropolitan City, G Province, and J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tudy measured variables includ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growth mindset, teaching efficacy, teaching engagement, and teaching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ing creativity through the independent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engagement. Furthermore, sequential mediation pathways were identified: from basic psychological needs through growth mindset and teaching efficacy, growth mindset and teaching eng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engagement, all of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teaching creativity. Notably, a serial mediation effect involving growth mindset,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engagement in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creativit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extend beyond internal states and can be transformed into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rough the influence of beliefs and attitude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ot only fulfill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but also fostering belief systems and attitudes that support creative teaching practic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혜정(Hye-jeong Ko),안동근(Donggun An). (2025).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가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창의력교육연구, 25 (2), 77-97

MLA

고혜정(Hye-jeong Ko),안동근(Donggun An). "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가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창의력교육연구, 25.2(2025): 7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