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메타인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영역 특수적(학문적, 예술적, 기계·과학적) 창의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차이

이용수  0

영문명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Creativity (Academic, Artistic, Mechanical/Scientific), Creative Self-Efficacy, and Openness According to Latent Profiles of Creative Metacogni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안동근(Donggun An) 권유선(Yousun Kwon) 표정민(Jungmin Pyo)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2호, 39~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적 메타인지 하위 요인에 기초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메타인지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영역 특수적 창의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개방성의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9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메타인지의 다면적 하위 요인(문제확인,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개선, 아이디어 실행)을 기반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메타인지를 분류한 결과, ‘중메타인지 집단’, ‘저생성-고실행 집단’, ‘저확인-고생성 집단’의 세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집단 분포는 ‘중메타인지 집단’ 39.8%, ‘저생성-고실행 집단’ 33.2%, ‘저확인-고생성 집단’ 27.0%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메타인지 유형에 따라 영역 특수적 창의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개방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예술적 창의성에서는 ‘중메타인지 집단’과 ‘저확인-고생성 집단’이 ‘저생성-고실행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기계·과학적 창의성에서는 ‘중메타인지 집단’이 ‘저생성-고실행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은 ‘중메타인지 집단’과 ‘저확인-고생성 집단’이 ‘저생성-고실행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types of creative metacogni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subcomponents of creative metacognition and to explor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creativity, creative self-efficacy, and openness according to each type.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9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subcomponents of creative metacognition (problem identification, idea generation, idea improvement, and idea implementation),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Moderate Metacognition Group,” the “Low Generation–High Implementation Group,” and the “Low Identification–High Generation Group.” Second, the distribu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ross these groups was 39.8% in the Moderate Metacognition Group, 33.2% in the Low Generation–High Implementation Group, and 27.0% in the Low Identification–High Generation Group.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omain-specific creativity, creative self-efficacy,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creative metacognition. In terms of artistic creativity, both the Moderate Metacognition Group and the Low Identification–High Generation Group showed higher levels than the Low Generation–High Implementation Group. Regarding mechanical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Moderate Metacognition Group outperformed the Low Generation–High Implementation Group. Creative self-efficacy and openness were also higher in the Moderate Metacognition Group and the Low Identification–High Generation Group than in the Low Generation–High Implementation Group.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동근(Donggun An),권유선(Yousun Kwon),표정민(Jungmin Pyo). (2025).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메타인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영역 특수적(학문적, 예술적, 기계·과학적) 창의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차이. 창의력교육연구, 25 (2), 39-57

MLA

안동근(Donggun An),권유선(Yousun Kwon),표정민(Jungmin Pyo).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메타인지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영역 특수적(학문적, 예술적, 기계·과학적) 창의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차이." 창의력교육연구, 25.2(2025): 3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