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structing Directing Strategies in Cinematic VR: A Case Study of Meeting Memor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석재승(Jae-Seung Seok)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4호, 127~16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통적 2D 영화 문법이 시네마틱 VR 환경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변형되고 절차적으로 재구성되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VR 4DX 중편 영화 <기억을 만나다>의 제작 과정을 프리-프로-포스트 프로덕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기존영화 문법의 주요 연출 요소(구도, 샷 사이즈, 컷 편집, 시선 유도 등)가 VR 환경의감각적·기술적 조건(360도 시야, 시선 자유도, 프레임 해체, 컷 편집 제한 등)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조정되고 적용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영화 문법은 단순히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시청 환경과 감정 몰입 구조에 맞춰 전략적으로 변형되며, VR만의 감각적 연출 미학으로 재배열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나타났다. 특히 시청자의 감각 체험을 중심에 두는 VR 영화에서는 조명, 음향, CG, 배우 동선 등 다양한 감각 요소들이 전통적 연출 기법의 대체 기능을 수행하며, 공간중심의 서사 구성과 정서적 리듬 설계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몰입형 서사 구조를 구성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네마틱 VR 환경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연출전략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며, 향후 VR 영화 제작과 이론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raditional 2D cinematic grammar is strategically transformed and procedurally reconstructed within the context of cinematic virtual reality (VR). Focusing on the VR 4DX short film Meeting Memories, the research analyzes the application and adaptation of conventional cinematic elements—such as composition, shot scale, gaze guidance, and editing—across the stages of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These element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ensory and technical conditions of VR cinema, including 360-degree vision, spatial immersion, and the dissolution of fixed framing. The findings reveal that conventional film grammar is not discarded in VR environments but restructured to align with the viewer’s embodied experience and the spatial nature of VR storytelling. In particular, lighting, sound, computer graphics (CG), and actor movement emerge as functional substitutes for traditional framing techniques, enabling emotional immersion and narrative coherence. This paper highlights the practical and aesthetic strategies necessary for directing in VR cinema and provide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immersive narrative medi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사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 미카엘 하네케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사디즘/마조히즘의 시선 연구
-
욕망의 거울과 신체의 변형: 영화
에 나타난 정신분석적 해석 - <21세기에서 무사히 탈출하기>의 장르 전략과 이데올로기 모순
- 1970년대 북한과 중국의 영화 교류 양상 연구
- 시네마틱 VR에서의 연출 전략 변화 고찰: <기억을 만나다>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영화 <컨택트>의 철학적 탐구: 언어, 시간, 자유의지
- 한국 스포츠 영화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이카루스 신화의 재서사화 - OTT 드라마의 관계적 서사와 캐릭터 원형 변주 연구: <중증외상센터>와 <하이퍼나이프>를 중심으로
- <애마부인>이 등장하기까지: 영화 풍속 검열의 변동 요인 분석, 1979∼1982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