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정책의 영향 분석: 근로자 복지 수준과 직장 불만족도의 동태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Analysis of the Regularization Policy for Non-Regular Workers: A Dynamic Approach to Employee Welfare and Job Dissatisfactio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장두석(Doo Seok Jang) 이용주(Young Ju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9권 제3호, 73~8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7년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정책이 근로자의 복지 수준과 일자리 불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 가능한 집단을 실험군(Treatment group), 기존 정규직 근로자를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설정하고, 동태적 영향 분석이 가능한 CSDID(Callaway and Sant’Anna, 2021)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시행 이후 직장에서 제공되는 복지 수준은 약 37.7% 증가했고, 일자리 불만족도는 약 60% 감소하여 근로자의 직무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항목별 분석에서는 일상에서 자주 활용돼 근로자에게 심리적으로 가까운 복지 항목 위주로 개선되었는데, 유급 휴가, 식사비 및 휴양비 보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상해 보험, 포상 휴가는 유의성이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2017 policy converting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positions on employee welfare levels and job dissatisfaction. The treatment group included workers eligible for conversion, while the control group comprised existing regular employees. Policy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CSDID (Callaway and Sant’Anna, 2021) method, enabling dynamic impact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workplace-provided welfare increased by approximately 37.7% after the policy's implementation, while job dissatisfaction decreased by around 60%, suggesting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effect tended to strengthen over time. However, a category-specific analysis revealed that improvements were concentrated in benefit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which are perceived as psychologically closer to employees. Significant gains were found in paid leave, meal subsidies, and vacation cost assistance, whereas no statistical effects appeared for injury insurance or reward leave.
목차
1. 서론
2. 제도적 배경
3. 연구 자료
4. 분석모형
5. 실증분석결과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사회융합연구
- 사회복지정책
- 사회복지정책
- 사회융합연구
- 사회융합연구
- 사회융합연구
-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 Journal of Econometrics
- Labour
- International Journal of Happiness and Development
- Austral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European Economic Review
- Labour Economics
- Psychological Review
-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