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 대학생의 네트워킹 행동과 전공몰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Networking Behavior and Major Immersion on Career Prepa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노주희(Ju Hee Nho) 박숙경(Sook K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9권 제3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의 네트워킹 행동과 전공몰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18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6.0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독립 t검정, ANOVA 및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네트워킹 행동은 5점 만점 3.35±0.44점이었으며 전공몰입은 3.36±0.51점으로 평균 이상이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3.37±0.44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네트워킹 행동은 전공몰입(r=.43, p<.001), 진로준비행동(r=.62,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공몰입은 진로준비행동 (r=.49, p<.001)과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는 학년, 성별, 임상실습 만족과 희망진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네트워킹 행동(β=0.19, p=.027), 전공몰입(β=0.60, p<.001)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고 최종 설명력은 49.5% 이었다(F=15.34, p<.001). 따라서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학생들의 네트워킹행동 증진을 위해 관심을 기울이고 학교차원의 주도적 활동에서 탈피하여 학생 주도적 참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몰입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tworking behavior and major commit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82 students participa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6.0. Statistical method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networking behavior (3.35±0.44), major commitment (3.36±0.51),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37±0.44) were above the average level. Networking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commitment (r=.43, p< .001)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62, p<.001), and major commitment also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9, p<.001).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networking behavior (β=0.19, p=.027) and major commitment (β=0.60, p<.001) as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49.5% of the vari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tudent-driven networking and academic engagement to enhance career readines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