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어 색채 형용사 белый, чёрный의 조어 구조와 전의적 의미 유형
이용수 0
- 영문명
- Derivational Structure and Semantic Shift of the Russian Color Adjectives белый and чёрный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박수빈(Su-bin Park)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4권 2호, 67~9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러시아어 색채 형용사 белый와 чёрный의 어휘 파생 계열을 대상으로, 그 조어 구조와 의미 확장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색채어의 상징성이나 관용 표현 내 의미 기능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파생어군 전체의 구조와 의미 전이 과정을 통합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찌호노프(Тихонов 1990)의 조어 사슬 의미 전이 유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белый 조어족은 방사형 조어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품사로 확장되면서 정서적, 윤리적, 담화적 차원으로 의미가 전이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чёрный 조어족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조어망 내에서 비유적, 평가적 의미가 중심적으로 고정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단지 파생어 수의 차원을 넘어, 두 색채어가 러시아어 언어적 세계상에 내포된 상이한 가치 구조와 문화적 의미화 방식을 반영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rivational morphology and semantic shift patterns of the Russian color adjectives белый (white) and чёрный (black), focusing on their respective derivational networks. Whil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the symbolic roles of color terms or their use in fixed expressions, this work shifts attention to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entire derivational systems and the mechanisms driving semantic evolution. Using Tikhonov’s (1990) framework for semantic shifts within derivational chains, the analysis reveals distinct trajectories: the белый family demonstrates a radial derivational structure, expanding across diverse grammatical categories and exhibiting semantic extensions into emotional, ethical, and discursive realms. Conversely, the чёрный family displays a more constrained derivational network, with semantic fixation predominantly in figurative and evaluative domains. These differences extend beyond mere quantitative disparities in derivative counts, reflecting deeper divergences in the value systems and cultural conceptualizations inherent in each color term’s role within the Russian linguistic worldvie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어적 특성 비교
Ⅳ. 조어 사슬의 의미 전이 유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