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Role Expectation,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of Clinical Nurse Educators among Head Nurses, Preceptors and Clinical Nurse Educators in Tertiary Hospitals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송영주(Young Ju Song) 황순희(Soon Hee Hwang) 최명희(Myung Hee Choi) 김윤경(Yun Kyung Kim) 백혜경(Hye Kyung Baek) 석민지(Min Ji Seok) 이영주(Young J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9권 제2호,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fessional role and clinical competence of clinical nurse educators, as well as to explore interprofessional relations among relevant nursing staff. Method :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75 individuals: 40 clinical nurse educators registered as educational personnel responsible for on-site guidance in five tertiary hospitals; 51 head nurses and 84 preceptors who had experience training new nurses alongside clinical nurse educators. Descriptive statistics,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30.0.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le expectations(H=31.06, p<.001) and role performance(H=26.32, p<.001) among the three groups.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between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head nurses(Z=-6.97, p<.001), as well as between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preceptors(Z=-4.47, p<.001). Conclusion :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in role expectations,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among head nurses,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preceptors.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efficiency of new nurse education, acti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among these roles are essential. Furthermore, Clear role delineation and adequate staffing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clinical nurse educator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SNS 이용동기, SNS 중독경향성, 디지털 리터러시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좋은 죽음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2형 당뇨병 환자의 e-헬스리터러시가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 당뇨병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간호정보역량과의 관계 : 디지털리터러시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