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Sleep dur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박윤희 윤현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4권 제3호, 128~13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Korean blue-collar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891 Korean blue-collar workers. Data were extracted from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0), and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dependent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being male (B=1.57, p=.002), binge drinking (B=-0.81, p=.041), and education level (B=-1.82, p<.001). Insufficient sleep time was also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B=2.34, p<.001). Conclusion: Insufficient sleep time influenc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hen covariates were controll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reduc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focusing on sleep insufficiency group as a vulnerable population among Korean blue-collar workers.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