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간호정보역량과의 관계 : 디지털리터러시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Between Metacognition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소영(So 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9권 제2호, 43~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subjects were 155 students from a department in Jinju City, Gyeongsangnam-do, who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between November 1 and December 31, 202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using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ing bootstrapping. Results : The analysis revealed mean scores of 3.70 for metacognition (range: 1-5), 3.86 for digital literacy (range: 1-5), and 3.56 for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range: 1-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metacognition (r=.48, p<.001), as well as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r=.61, p<.001). Bootstrapping analysi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with an indirect effect of 0.27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of [0.17, 0.38]. Conclusion : Therefore,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o systematically enhanc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adopt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integrate both metacognition and digital literacy. This approach could serve as a key educational strategy for improving information-based practice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간호정보역량과의 관계 : 디지털리터러시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좋은 죽음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SNS 이용동기, SNS 중독경향성, 디지털 리터러시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2형 당뇨병 환자의 e-헬스리터러시가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 당뇨병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