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성공학에 기반한 디자인 형상 평가 연구: 스탠드식 소형 체온 측정기 제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21

영문명
Study on Design Shape Evaluation Based on Kansei Engineering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펑위안(Yuan Bing) 조영식(Youngsik Cho)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2호, 87~9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감성 공학에 관한 연구는 이미 40여 년 전에 시작되어 인간 감성 연구의 매우 주요한 학문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인간 감성”이라는 다소 주관적 판단을 객관화시키고자 하는 과학적 탐구 노력은 학문 연구로서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인정되지만, 인간의 감성 판단에 관한 과학적 평가 연구는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 연구의 균형적 측면에서 감성 데이터 추출과 이에 과학적 평가를 통해 다소 미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감성 공학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감성 연구 자료의 정량적 추출을 위한 수학적 모델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제안된 형상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판단 적합성을 증명하기 위한 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 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 특정 표본에 대한 감성 이미지어휘를 수집, 선별한 후, 이를 의미 차별법을 통해 감성 이미지 평가를 일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감성 이미지 어휘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해 핵심 감성 이미지 핵심 요소를 추출하였다. 다음 단계로 특정 표본 제품을 형상 카테고리별로 세분한 후, MATLAB의 수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감성 이미지 어휘와 표본의 형상 요소 간의 맵핑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 형상의 카테고리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감성 이미지 어휘를 반영한 혁신적 디자인 형상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차적으로 제안된 형상의 감성적 판단이 잠재적으로 유효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대표적인 생리적 측정 연구 방법인 안구 추적 실험을 통해 감성 기반의 디자인 제안에 대한 과학적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엔트로피 가중법을 적용하여 감성 판단과 디자인 결과의 가중치를 분석하여 향후 디자인 과정에서 비용과 개발 기간을 혁신적인 개선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모호한 감성 판단과 제품의 조형 요소를 결합한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감성 공학 연구의 한계점을 일부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제품의 감성 품질 요구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pandemic, many medical product companies achieved remarkable advancements, with temperature measurement products playing a particularly crucial rol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ng the design of temperature measurement products,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evaluation model based on a small stand-type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First, representative stand-type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samples and Kansei Image vocabulary were collected and refined.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an emotional imag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representative samples by target users. Next, factor analysis of Kansei Image vocabulary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to extract key emotional image vocabularyThe design element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were then segmented into specific compon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ansei Image vocabulary and design elements were analyzed using MATLAB's mathematical modeling. This analysis identified the design elements for each category and proposed innovative design solutions reflecting Kansei Image vocabulary, followed by 3D modeling. Final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emotion-based design proposals was validated through eye-tracking experiments. Additionally, the Entropy Weight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weights of Kansei Image vocabulary and design solution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future design proces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innovation in the design process by integrating users' abstract emotional images with product design elements. Ultimately, it aims to improve user empathy and design quality, contributing to more user-centered and effective desig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프로세스 및 연구 방법
Ⅳ. 감성 적합성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펑위안(Yuan Bing),조영식(Youngsik Cho). (2025).감성공학에 기반한 디자인 형상 평가 연구: 스탠드식 소형 체온 측정기 제품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 (2), 87-94

MLA

펑위안(Yuan Bing),조영식(Youngsik Cho). "감성공학에 기반한 디자인 형상 평가 연구: 스탠드식 소형 체온 측정기 제품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2(2025): 87-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