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ublic Policy Proposals for the Advancement of the AI Data Ecosystem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윤종욱(Jongwook Yoo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2호, 65~7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인공지능 시장에서 국내 AI 데이터 생태계의 발전과 확산을 위한 공공 정책 발굴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AI 데이터 산업의 발전에 중요하거나 또는 저해가 되는 이슈들을 검토하였다. 우선 문헌 고찰을 통해 데이터 생태계의 발전에 필요한 이슈 및 문제들을 4개의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AI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신기술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8개의 데이터 신기술에 대한 시장 내 주요 이슈 및 장단점을 분석한 기초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이를 토대로 공공정책을 발굴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학계, 공공조직, 연구팀 등 관련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여 브레인스토밍과 설문조사를 거쳐 25개의 정책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개별 과제 평가는 전략적 중요도, 실현 가능성, 파급효과라는 세 가지 평가지표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책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최우선 정책군', '단기 실행 정책군', 중장기 추진 정책군' 등 세 개의 집단으로 범주화 함으로써, 정책의 단계적 추진을 위한 로드맵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AI 데이터 생태계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공 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ublic policy proposa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domestic AI data ecosystem in the rapidly emerg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rket.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key issues that either facilitate or hinder the growth of the AI data industry.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issu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potential solu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emerging AI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technologies. As a result, a foundational report was produced, analyzing the market's major issue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ight AI-related data technologies. This served as the basis for deriving relevant public policy proposals. During this process, expert groups from academia, public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brainstorming sessions and surveys, ultimately identifying 25 policy tasks. Each task was evaluated using three criteria: strategic importance, feasibility, and ripple effect. To prioritize these policy tasks, a K-Means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classifying them into three groups: a top-priority policy group, a short-term implementation group, and a mid-to-long-term development group. This classification enabled the construction of a phased roadmap for policy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agnoses the current state of the AI data ecosystem in Korea and presents a strategic direction for public policies aimed at its activation and sustainable advancement.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정책 발굴 및 평가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Antecedents of Revenge Buy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the Luxury Industry
- AI 반려 로봇의 소비가치가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VAB 모델을 중심으로
- 디자인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성: 디자인 방향 도출을 위한 적용과 효과
- 뮤지컬 공연 초대 관객이 유료 관객 개발에 미치는 영향: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관객 데이터 중심으로
- AI 기반 박물관 콘텐츠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접근법: 제작 과정의 혁신과 사례 연구
- AI 생성형 개념 제품과 기존 제품의 감성 의향 가치 평가 연구
- 편의점의 환경적 정당성이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칼로리 표기 방식이 소비자의 해석수준에 따라 제로 칼로리 음료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초개인화 마케팅 프로세스 고도화 목적의 광고 도메인 특화 거대언어모델 파인튜닝 사례
- Seoul Tour Itinerary Design: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SP and VRP
- 감성공학에 기반한 디자인 형상 평가 연구: 스탠드식 소형 체온 측정기 제품을 중심으로
-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요인이 고객경험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실용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쇼핑몰 제품 큐레이션 서비스 특성이 중국 소비자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해외직접구매 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방대학의 역할: 교육·연구·봉사의 기능 간 중요도 산출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반 스포츠 경기 결과 예측 서비스가 스포츠베팅 산업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정 AI Pick의 사례
- 인공지능 데이터 생태계 발전을 위한 공공정책 제안에 관한 연구
- 기업가지향성이 제품혁신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Investor Sentiment: A Thematic Review and Research Agenda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9 Contents
-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Building a Sustainable Ecosystem in Rural Entrepreneurship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