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9

영문명
Transactional Approach to Poetry Appreciation for Expanding Learners’ Responses : A Direction for Sixth Grade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장수연(Suyeon Jang) 김도현(Dohyun Kim)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9권 제1호, 79~11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 교육에서 표면적 감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 감상 수업에서 학습자의 상호교호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반응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의 가능성과 효과를 검토하며,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초등 문학 교실에서 학습자 간 소통이 표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감상의 확장이나 심층적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로젠블랫(Rosenblatt)의 ‘상호교호(transaction)’ 개념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초기 반응을 심화하고, 다양한 관점을 통해 의미를 확장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시 감상 수업을 설계·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간 상호교호적 반응 확장을 촉진하는 교수법을 실천하였다. 학습자들은 시 감상 수업을 통해 타자(시 텍스트, 동료, 교사 등)와의 상호교호를 경험하며 의미 해석을 확장하고 자기 성찰의 과정을 거쳤으며, 기존의 개별적 해석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며 시를 이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학 감상 교육에서 상호교호적 반응 확장이 학습자의 인식 확장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해석적 유연성을 보장하며 의미 탐구를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superficial responses in elementary school poet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learners’ responses observed through transactional processes during poetry appreciation classes, examining the potential and effectiveness of transaction-based poetry instruction, and deriving educational implications.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vealed that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in elementary literature classrooms often remains superficial and does not lead to expanded appreciation or deepened thinking. Based on Rosenblatt’s concept of “transaction,”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poetry appreciation lessons for sixth-grade students to help deepen their initial responses, broaden their interpretations through diverse perspectives, and continuously develop their understanding. Through this instructional approach, learners engaged in transacti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including the text, peers, and the teacher), expanded their meaning-making processes, and underwent self- reflective experiences. The findings showed that learners went beyond their individual interpretations and incorporated diverse perspectives into their understanding of poetr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t role of transactional response expansion in fostering learners’ cognitive growth and interpretive development in literary appreciation and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that ensures interpretive flexibility and promotes the exploration of meaning.

목차

1. 서론
2. 시 감상에서 상호교호의 의미
3.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의 설계와 방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연(Suyeon Jang),김도현(Dohyun Kim). (2025).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9 (1), 79-110

MLA

장수연(Suyeon Jang),김도현(Dohyun Kim). "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9.1(2025): 7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