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in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jin Kim) 허지우(Jiwoo Hur) 김다혜(Dahye Kim)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9권 제1호, 211~2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 내용 개정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재의 실제 현장 적용성을 담보하기 위해 개편 전후 문화 교육 내용을 고찰하여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대 흐름에 뒤떨어진 문화 내용 및 활동, 초등 학습자의 수준 및 관심사를 고려하지 않은 문화 요소, 학습자에게 불분명하게 인식되는 삽화나 사진을 개선해야 할 점으로 도출하였다.
문화 교육 내용의 개정 방향의 원리로 현대화, 개인화, 명료화를 들고 이를 기반으로 시의성을 고려한 언어문화 자료의 활용, 일상생활에 내재된 상호 문화 관련 주제의 제시, 구체적이고 정밀한 문화 산물 삽화의 묘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어 교재 문화 내용 개발의 방향성 및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향후 교재 개정에 참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develop the 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 To this end, we reviewed cultural education content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reform and analyzed problems with existing textbooks, bringing to light several crucial areas that require attention. These include outdated cultural content and activities, cultural elements that do not align with the level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illustrations students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using timeless language and cultural materials, presenting intercultural topics inherent in daily life, and depicting specific and precise illustrations of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serves as a benchmark for future textbook revisions and offers a roadmap with specific activities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in Korean textbook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문화 교육 내용 개정의 이론적 배경
3.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개편 전후 문화 요소 분석
4.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2019)』 문화 교육 내용 개정 방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를 경험하는 소설교육 - ‘독자-배심원’ 개념을 적용한 톄닝의 「도망」 ‘역할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매체 영역의 ‘사회적 의제’ 성취기준 구현 양상 분석
- 한국어 교사의 쓰기 내용 피드백 인식과 양상에 대한 연구 - 중급 학습자 작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성의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설계 - ‘생태언어학’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바탕으로
- <독서와 작문> 교과서의 논증 단원 구성 방식 분석 - 성취기준, 텍스트, 학습 활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 내용 개정 방향 연구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 디지털 시대에 대한 메타적 성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