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Agendas in the Media Strand in Korean Language Art Textbook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이귀영(Gwiyoung Lee) 장은주(Eunju Ja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9권 제1호, 141~17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매체 영역이 국어 교과서에서 구현된 양상을 분석하고, 매체 문해력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9종의 『공통국어1』에서 사회적 의제 관련 단원의 단원 구성 방식과 학습 요소의 상세화 방식을 분석하였다. 구성 방식은 성취기준 통합 형태, 연계 영역, 반영 비중, 학습 활동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학습 요소는 사회적 의제, 매체 자료, 사회·문화적 맥락, 비판적 분석, 주체적 수용 항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해당 성취기준을 다른 영역과 결합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며, 일부 교과서에서는 매체 성취기준의 비중을 낮추거나 핵심 요소가 축소되어 구현되는 양상도 확인되었다. 특히 사회적 의제의 개념을 단순한 사회 문제 수준에 머무르거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구성된 경우가 있었으며, 비판적 분석과 주체적 수용 활동 역시 구체성과 일관성이 부족한 측면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사회적 의제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교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는 매체 성취기준의 고유한 학습 목표와 활동이 구조적으로 구현되도록 단원을 설계해야 한다. 아울러 수업 현장에서는 교사가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언어 인식과 사회적 참여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매체 문해력 교육의 실질적인 실행 가능성을 점검하고, 이후 수업 현장 연구로 확장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dia strand, particularly the standard for analyzing social agendas, is implemented in Korean high school language arts textbooks. By analyzing nine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dentified patterns in the unit structure, content integration, and key learning elem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andard is often integrated with other domains, sometimes marginalizing core media literacy components. The concept of social agenda is frequently oversimplified, and critical analysis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are inconsistently addressed. This study recommends clarifying the key concepts in curriculum development, structurally reinforcing standards in textbooks, and encouraging teachers to critically adapt materials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literacy and civic competence. By bridging the curriculum with textbook practice,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advanc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classroo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를 경험하는 소설교육 - ‘독자-배심원’ 개념을 적용한 톄닝의 「도망」 ‘역할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매체 영역의 ‘사회적 의제’ 성취기준 구현 양상 분석
- 한국어 교사의 쓰기 내용 피드백 인식과 양상에 대한 연구 - 중급 학습자 작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성의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설계 - ‘생태언어학’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바탕으로
- <독서와 작문> 교과서의 논증 단원 구성 방식 분석 - 성취기준, 텍스트, 학습 활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 내용 개정 방향 연구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 디지털 시대에 대한 메타적 성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