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Argumentation Unit Composition i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 Alig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현윤진(Yunjin Hyeon) 권경문(Kyoungmoon Kwon) 김형성(Hyu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9권 제1호, 35~7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강화된 논증 교육이 <독서와 작문>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6종 교과서에 제시된 논증 성취기준([12독작01-11])과 논증 단원 내 텍스트, 학습 활동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성취기준 구현 양상 측면에서 모든 교과서가 ‘논증하는 글 쓰기’를 하나의 소단원으로 구성하였으나, <독서와 작문> 과목의 개발 취지와는 달리 ‘쓰기’ 영역에 치중된 경향을 보였다. 텍스트 측면에서 논증이 사회·문화 분야의 논설문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대다수였으며, 제재 텍스트가 단일 문서 및 문자 텍스트 위주로 제시되는 경향을 보여 다문서 및 복합양식 텍스트 기반의 실제적인 글쓰기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텍스트 내 ‘예상 반론’과 ‘반박’의 비중이 적어 새롭게 도입된 논증 요소가 충분히 구현되지 못했다. 설득 전략에서는 개념의 의미역에 대한 교과서별 해석 차이가 있었으며, 이성적 설득 전략의 구체화가 부족하여 학습자가 실제 글쓰기 과정에서 활용할 만한 전략으로 연결하기 어려웠다. 마지막으로 학습 활동 구성 방식 측면에서 단계별 쓰기 전략이 충분히 안내되지 않아, 학습자의 논증 글 쓰기 수행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논증 글 쓰기를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우선 ‘공통국어 1, 2’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논증 텍스트의 논증 요소나 논증 방법을 분석하며 비판적으로 읽는 활동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어 다양한 분야, 유형, 복합양식·다문서 기반의 텍스트를 활용해야 한다. 또한 ‘예상 반론 및 반박’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강화하고, 설득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쓰기 단계별로 다양한 논증적 글쓰기 전략을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reflect the enhanced emphasis on argumentation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on six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alignment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 [12DW01 -11], selected texts, and associated learning activities within argumentation units. Although all textbooks include a sub-unit on argumentative writing, they tend to overemphasize the writing domain, which contrasts with the integrated aims of the Reading and Writing subject.
Texts are largely limited to expository writings from sociocultural fields and mostly presented in single-modal, print-based formats, thus lacking the representation of multimodal and multi-text environments. Furthermore, key argumentation elements such as anticipated counterarguments and rebuttals are underrepresented. Persuasive strategies vary across textbooks and often lack sufficient concreteness, limiting their applicability to actual student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lso fail to provide structured, step-by-step guidance for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enhancing the critical reading of argumentative texts in connection with General Korean, diversifying text types and formats, reinforcing instruction on counterarguments and rebuttals, concretizing persuasive strategies, and supplementing argumentative writing strategies by stag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를 경험하는 소설교육 - ‘독자-배심원’ 개념을 적용한 톄닝의 「도망」 ‘역할토론’ 사례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매체 영역의 ‘사회적 의제’ 성취기준 구현 양상 분석
- 한국어 교사의 쓰기 내용 피드백 인식과 양상에 대한 연구 - 중급 학습자 작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성의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설계 - ‘생태언어학’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바탕으로
- <독서와 작문> 교과서의 논증 단원 구성 방식 분석 - 성취기준, 텍스트, 학습 활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학습 독자의 반응 확장을 위한 상호교호 기반 시 감상 교육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 내용 개정 방향 연구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 디지털 시대에 대한 메타적 성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