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의 동옥저 복속과 지배방식

이용수  0

영문명
Goguryeo’s(高句麗) Subjugation and Rule over Dong-Okcho(東沃沮)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나유정(Youjung Na)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31號, 29~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삼국사기』와 『삼국지』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동옥저 지배구조의 양상을 재구성한 것이다. 먼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정복 기사들을 분석하여 서술 구조를 유형화하고 정복주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무신왕까지는 왕 혹은 왕의 직속 신하들이 정복 주체였던 반면, 태조왕 이후에는 왕과 那部가 정복 주체로 등장한다. 이때 동옥저 정벌 기사는 예외적으로 정복 주체가명시되어 있지 않는데, 동옥저 복속이 계루부와 여러 나부의 연합적 군사행동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삼국지』 동옥저조를 분석하여 ‘相’을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으로 해석한 견해와 달리, ‘使相主領’을 ‘통치했다’는 일반적 관용구로 보았다. 결과적으로 고구려가 토착 대인을 사자로 임명하고 조세에 대한 통책은 대가를 통해 수행했다고 파악했다. 두 사서의 상황을 종합해 봤을 때 고구려의 동옥저 지배는 중국식 군현제와 같은 직접지배 체제를확립한 것은 아니었고, 대규모 창고를 갖추지 못한 분산형 수취 구조였다. 즉 동옥저 여러 읍락에 대한통책 권한이 각 나부 별로 분할된 지배구조였을 가능성이 높다. 다수의 대인은 동옥저 토착 집단의 유력자로 사자의 지위를 통해 계루부를 비롯한 각 나부에 예속되었고, 각 나부의 대가를 통해 수취된 물품은각 나부의 대가들에게 돌아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s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the Sanguozhi(三國志), and reconstructs the structure of domination over Dong-Okcho(東沃沮) based on these sources. First, it analyzes the early conquest records in the Goguryeo(⾼句麗) section of the Samguksagi(三國史記), categorizes their narrative structures, and investigates the agents of conquest. It finds that until the reign of Daemusin-wang(大武神王), the king or his direct retainers served as the main agents of conquest, whereas from the reign of Taejo-wang(太祖王) onward, both the king and the Nabu(那部) appear as agents. In contrast, the record of the Dong-Okcho(東沃沮) campaign does not specify a conquest agent,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ampaign was a joint military operation conducted by the Gyerubu(桂婁部) and various other Nabu(那部). Through analysis of the Dong-Okcho(東沃沮) section in the Sanguozhi(三國志), this study argues, contrary to previous interpretations that regarded “Sang”(相) as a centrally dispatched local official, that the phrase Sasangsuryong(使相主領) should be understood as a general idiomatic expression meaning “to govern.”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Goguryeo(⾼句麗) appointed native leaders as Saja(使者) and conducted tax collection through the Daega(大加).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from both historical sources, the study concludes that Goguryeo(⾼ 句麗) did not establish a direct rule system such as the Chinese-style commandery-county system (junxian 郡縣制), but rather maintained a decentralized collection structure without large storage facilities. In other word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authority to collect tribute from Dong-Okcho(東 沃沮) settlements was divided among the various Nabu(那部). The native leaders(Daein, 大人) of the Dong-Okcho(東沃沮) settlements were subordinated to individual Nabu(那部), including the Gyerubu(桂婁部), through their appointment as Saja(使者), and the tribute collected through the Daega(大加) was distributed to each Daega(大加) of the respective Nabu(那部).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사기』 동옥저 정복 기사에 대한 분석
Ⅲ. 『삼국지』 동옥저조에 대한 분석
Ⅳ. 고구려의 동옥저 지배방식과 대인·대가의 관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유정(Youjung Na). (2025).고구려의 동옥저 복속과 지배방식. 백산학보, (), 29-55

MLA

나유정(Youjung Na). "고구려의 동옥저 복속과 지배방식." 백산학보, (2025): 2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