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이실부횡혈식적석총(耳室付橫穴式積石塚)의 축조시기 검토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Goguryeo Tomb Made of Open-Ended Stones with Small Rooms on Both Side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주홍규(Honggyu Ju)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31號, 57~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사회에서 조영된 규모가 크고 웅장한 무덤들은 죽은 자를 위한 공간인 한편으로 후손들의 권세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로서 당시 사람들의 사생관(死生觀)이 가장 잘 드러나는 요소 중 하나라고할 수 있다. 적석총과 봉토분, 기단적석봉토분 등과 같이 고구려를 대표하는 무덤들은 고구려의 역사를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구려 무덤의 축조시기는 묘지명이나 고분 벽화의 내용, 토기나기와와 같이 출토된 유물의 양상을 통해 밝혀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수많은 고구려의 무덤 중에서 피장자나 축조시기에 대해 대체로 견해가 일치되는 무덤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이라고 명칭한 고구려의 무덤들도 축조시기와 피장자 문제에 대해일치된 견해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산하 2112호, 제총, 우산하 540호, 산성하 725호, 서강 110호, 사장리 1호, 절천정총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무덤의 구조적 특징 및 출토유물의 제작연대 검토를 통해 고구려의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의 축조시기를 추정했다. 그 결과 고구려의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은 5C 2/4기~5C 3/4기라는 매우 한정된 시기에 集安지역과그 인근에서만 축조된 무덤이라는 점, 이러한 형식의 무덤들 중에는 위계가 높고 낮은 무덤들이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이실부횡혈식적석총 중에서도 내·외부의 규모가 가장 큰 우산하 540호는 왕릉이나왕족의 무덤이 아니라 고구려의 최상급 귀족에 해당하는 위계가 높은 인물의 무덤이라는 점 등을 밝힐수 있었다. 고구려의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은 적석총에서 봉토분으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과도기에 새롭게등장하는 묘제로 고구려 무덤의 편년 기준으로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러한 고구려의무덤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 고구려 고고학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large-scale tomb made in ancient society is a space for the dead and a symbol of the power of descendant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one of the factors that best reveal people's notions of death at the time. Goguryeo's representative tomb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its history.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Goguryeo tomb has been revealed through writings on the protagonist, the contents of the tomb murals, bowls, and roof tiles. However, among the numerous tombs of Goguryeo discovered so far, very few tombs agree on the main character or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Goguryeo's a tomb made of open-ended stones with small rooms on both sides(耳室付橫穴式積石 冢), which were named tombs in this study, also failed to reach a consensus on the timing of construction and the protagonist's issue. In this study, a total of seven tombs were studi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of Goguryeo a tomb made of open-ended stones with small rooms on both sides (耳室付橫穴式積石冢) was estimated through a review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and the age of production of excavated relic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Goguryeo tomb made of open-ended stones with small rooms on both sides(耳室付橫穴式積石冢) was built only in and around Zian area during a very limited period of 5C 2/4-5C 3/4; that there are tombs with high and low classes in this type of tomb; and that Usanha 540, which is the largest among Goguryeo's tombs, is not a tomb of a royal tomb or royal family, but a tomb of a high-ranking figure of Goguryeo's highest nobility. Goguryeo tomb made of open-ended stones with small rooms on both sides(耳室付橫穴式積石冢) are emerging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stone tombs to clay tombs. This tomb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ge of Goguryeo tombs. It is expected that such research on Goguryeo's tombs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help Goguryeo's archae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의 현황
Ⅲ. 고구려 이실부횡혈식적석총의 축조시기
Ⅳ. 고구려 무덤의 변천 과정에서 본 이실부횡혈식적석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홍규(Honggyu Ju). (2025).고구려 이실부횡혈식적석총(耳室付橫穴式積石塚)의 축조시기 검토. 백산학보, (), 57-84

MLA

주홍규(Honggyu Ju). "고구려 이실부횡혈식적석총(耳室付橫穴式積石塚)의 축조시기 검토." 백산학보, (2025): 5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