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f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Relic Containers Excavated from China's Jingzhi Temple Pagoda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ic Veneration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길혜영(Hui-ying Ji)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49집, 395~42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舍利埋納은 불교에서 중요한 활동으로 후세에 풍부한 불교유적과 유물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이를 연구함에 따라 중국 사리갖춤의 발전과 변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했다. 중국 하북성 정지사 塔基의 地宮에서 출토된 사리갖춤은 北魏부터 隋, 唐代 그리고 北宋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탑기 내에 매납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 탑 내 지궁에서 여러 왕조의 사리갖춤이 출토된 경우는 극히 드물며, 이는 중국 고대 불탑의 지궁과 사리 매장 방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중국의 사리매납제도는 불교와 중국의 전통 묘장습속(墓葬習俗)이 결합된 산물이며, 특히 수·당시대에는 독특한 중국식 사리 매납제도가 형성되었다. 초기의 발전을 거쳐 중국 사리매납은 인도에서 유래했지만 이와 다른 중국식의 사리매납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는 일정한 사리용기의 구성방식과 사리탑하명의 출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당대에 이르러 횡혈식 지궁과 새로운 중심용기인 관곽형 사리기의 사용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사리용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당대는 중간 단계로서 전 시대의 특징을 계승하여 점차 중국화된 체계를 형성하면서 송, 원, 명 시대의 사리매납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지사 탑기지궁에서 출토된 유물은 정주에서 북위에서 수, 당 거쳐 북송까지 오백여 년간 중국 중원지역 공예기술의 발달과 불교문화의 번창을 보여준다. 정지사탑의 반복된 재건과 사리매납 행사는 중국 불교의 발전 역사에서 수 차례 멸불운동의 속에서도 이어진 불법에 대한 열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고는 정지사에서 보이는 시대별 과정을 먼저 중국 고대 사리용기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리용기에 대한 대략적 발전추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지궁 출토품에서 보이는 명문내용을 분석하여 정지사 사리용기 구성의 특징과 사리공양의 성격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t role of relic deposition in Buddhism, which not only left behind a wealth of Buddhist relics and cultural artifacts for posterity but also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the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of relic container systems in China. The relic containers excavated from the subterranean palace of the Jingzhi Temple tower base in northern Hebei Province comprise artifacts that appear to have been deposited continuously from the Northern Wei through the Sui, Tang, and Northern Song dynasties. The rare occurrence of relic containers from multiple dynasties within a single tower’s underground chamber offers invaluable material for studying the architectural and depositional practices of ancient Chinese Buddhist pagodas.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relic containers as observed at Jingzhi Temple, outlining the general trend in their evolution. By analyzing the inscriptions and compositional details of the excavated items,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lic container assemblage and the nature of relic veneration practices. It is argued that the Chinese relic deposition system is a hybrid product of Buddhist influence and indigenous funerary customs. Particularly during the Sui and Tang periods, a unique Chinese-style relic deposition practice emerged. Although the initial practice of relic deposition originated in India, it evolved in China into a distinctly local phenomenon, as evidenced by standardized container configurations and the appearance of pagoda inscriptions. During the Tang era, changes in relic container design were marked by the use of horizontally arranged subterranean chambers and the introduction of a new central container type, reflecting a transitional phase that inherited previous characteristics while gradually forming a sinicized system. This evolution, in turn, influenced relic deposition practices in the subsequent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The artifacts from the Jingzhi Temple tower’s underground palace document over five centuries of craftsmanship and the flourishing of Buddhist culture in the Central Plains of China, from the Northern Wei through the Sui, Tang, and Northern Song periods. The repeated reconstruction of the Jingzhi Temple tower and its associated relic deposition events can be interpreted as a manifestation of enduring devotion to the Buddhist Dharma, persisting even in the face of several anti-Buddhist movements throughout Chinese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고대 사리용기 구성방식
Ⅲ. 중국 정지사탑 사리용기 구성과 사리공양의 성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혜영(Hui-ying Ji). (2025).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한국고대사탐구, (), 395-427

MLA

길혜영(Hui-ying Ji). "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한국고대사탐구, (2025): 395-4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