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시대 중국 음악의 전래 - 高麗伎·百濟伎·新羅伎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Introduction of Chinese music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 Focused on Goguryeoji, Baekjeji, Sillaji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배윤경(Yun-kyoung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9집, 5~4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동아시아의 특수한 영역으로 자리한 예악의 관점에서 한국 고대 음악의 전래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이전 시대와 달리 예악의 구현을 할 수 있는 실질적 공연 체제인 수대에서 당전기에 한정하여 존재하는 공연양식인 多部伎(樂)인 七部樂·九部樂·十部樂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 음악 전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隋代 胡樂을 흡수하고, 新樂律을 제정하여 공연 음악의 체제를 형성하고, 이후 당대 음악 공연양식을 확대했다. 이 과정에서 삼국의 음악인 高麗伎·百濟伎·新羅伎 또한 수당대 공연음악 체제에 함께 존재하여, 한국 고대 음악 역시 예악이라는 음악의 형태로서 중국 예악을 전래받고 동시에 발전의 괘를 겪어 왔으며, 일본에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ransmission of ancient Korean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Rites and Music, which started in ancient China but became a special area of East Asia.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radition of ancient Korean music, focusing on Qibuyue(七部樂), Jiubuyue(九部樂), Shibuyue(十部樂) and d belonging to DuoBuJi (多部伎). First, the Sui Dynasty absorbed HuYue(胡樂) and established a new Music Theory form a system of performing music. Later, during the Tang Dynasty, the music performance style was expanded. In this process, the music of the Three Kingdoms, Goguryeoji (高麗伎), Baekjeji(百濟伎), and Sillaji(新羅伎), also existed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performance music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Chinese music was already introduced in the form of Rites and Music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t was developed at the same time and spread to ancient Japanese music.
목차
Ⅰ. 머리말
Ⅱ. 隋·唐 공연 음악의 체제: 七部樂·九部樂·⼗部樂의 형성
Ⅲ. ⾼麗伎·百濟伎·新羅伎의 공연 음악 체제의 전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시대 중국 음악의 전래 - 高麗伎·百濟伎·新羅伎를 중심으로
-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의 유입과 사용
- 한국고대사탐구 제49집 목차
- 渤海 문화에서 보이는 주요 唐 문화 요소
- 중국 唐鏡 장식기법의 발전과 통일신라 공예에 미친 영향
- 北魏 孝文帝의 禮制改革과 理想國家
- 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 해양사의 관점에서 본 백제 근초고왕의 새로운 이해
- 5세기 중·후반 고구려의 ‘大臣·强族’과 지방사회의 동향 - 평양 천도 이후 장수왕대 정치사에 대한 재검토
- 7세기 동아시아의 격변기와 天智天皇
- 신라의 사회통합과 외교전략의 리더, 태종무열왕
-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諸 세력의 고조선 계승 의식과 상호 인식
- 중국 고대 鐵鏡의 출토 양상과 시대별 특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