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양사의 관점에서 본 백제 근초고왕의 새로운 이해
이용수 9
- 영문명
- The New Understanding of Paekche King Kunch’ogo from a Maritime History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임동민(Dong-min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9집, 165~20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백제 근초고왕(재위 346~375년)은 교과서, 소설, 드라마 등에서 다분히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소비되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근초고왕의 영역확장 등에 대한 다양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양사의 관점에서 근초고왕의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탐색하고자 하였다. 근초고왕은 중원 왕조, 낙랑·대방군 중심으로 왜까지 이어지던 장거리 연안항로 네트워크의 경색이라는 시대 배경 속에서 즉위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근초고왕의 시기를 ‘고대국가’,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시점으로 주목하였는데, 이것은 식민주의 역사학 극복 등의 연구사적 의미가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분야에서 근초고왕 시기를 ‘획기’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하여 비판이 이루어졌다. 특히 영역확장 문제와 관련하여, 북쪽으로 낙랑 고지까지 점령하고, 요서에 거점을 확보하는 동시에, 마한을 정복하고 가야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고 보는 기존 연구의 경향이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근초고왕의 업적은 제한적 영역확장, 고구려와의 전쟁, 동진 및 왜와의 교섭이라는 측면으로 좁혀진다. 그런데 근초고왕이 동진이나 왜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바다를 건너야 하였으므로, 해양사의 관점에서 그의 시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근초고왕은 북방으로 황해도 남부를 확보하고 고구려와 공방전을 벌였고, 남방으로 한강과 금강 유역 일대를 간접지배하고, 옛 마한 세력의 대외교섭권을 확보하는 동시에, 가야와 우호관계를 맺은 것으로 생각된다. 요서진출과 관련하여, 긍정론에서 말하는 해양사적 배경은 동의하기 힘들다. 이러한 영역확보의 상황 속에서, 근초고왕은 황해중부횡단항로를 통하여 동진과의 빈번한 교섭에 나섰고, 이를 원동력으로 삼아서 장거리의 연안항로 네트워크를 다시 구축하여 왜와의 교섭에 나섰다. 해양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근초고왕 시기를 살펴보면, 백제는 장거리 연안의 모든 지역을 ‘지배’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연안의 기항지를 연결하여, 3세기까지 유지되던 연안항로 네트워크를 재구축하였다. 근초고왕은 기존에 있던 다원적인 질서를 재구축하여, 3세기부터 계속된 백제의 성장 ‘과정’에서 동아시아의 바다를 해양 네트워크의 형태로 연결한 군주였다.
영문 초록
King Kunch’ogo of Paekche (r. 346-375) has traditionally been interpreted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However, recent studies have critically reassessed his achievements, particularly his territorial expansion. This paper seeks to re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King Kunch’ogo from the perspective of maritime history. He ascended the throne during a period when the long-distance coastal navigation network, which extended from Chinese dynasties to Wa, was experiencing stagnation.
Previous research has viewed King Kunch’ogo’s reign as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an “ancient state” or a “centralized state.” However, recent scholarship has questioned whether this period can truly be considered such a milestone. In particular, past claims that King Kunch’ogo expanded Paekche’s territory northward to the former Lelang region, secured a foothold in Liaosi, conquered Mahan, and exerted influence over Kaya have been subject to criticism. His accomplishments are now largely understood within the narrower scope of limited territorial expansion, warfare with Koguryŏ, and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Eastern Jin and Wa. Given that such exchanges with Eastern Jin and Wa necessarily required maritime travel, a reevaluation of his reign from the perspective of maritime history is warranted.
King Kunch’ogo secured southern Hwanghae in the north and engaged in military confrontations with Koguryŏ, while in the south, he exercised indirect control over the Han and Kŭm River basins, claimed the right to conduct diplomacy on behalf of former Mahan polities, and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Kaya. Regarding Paekche’s advance into Liaosi, the maritime historical arguments supporting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is expansion are difficult to accept. Within this context, King Kunch’ogo engaged in diplomacy with Eastern Jin via the Yellow Sea Central Cross Route and used this as momentum to reconstruct the long-distance coastal navigation network, enabling exchanges with Wa. From the perspective of maritime networks, Paekche did not fully “control” the long-distance coastal routes but reestablished the pre-existing coastal navigation network-originally maintained until the third century-by linking various ports. King Kunch’ogo was a ruler who reconstructed a pluralistic maritime order and, within the broader process of Paekche’s growth since the third century, connected the seas of East Asia through a maritime network.
목차
Ⅰ. 머리말
Ⅱ. 4세기 동아시아의 정세변동과 연안항로 네트워크의 경색
Ⅲ. 근초고왕의 도전에 관한 기존의 연구 시각
Ⅳ. 해양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본 근초고왕의 도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시대 중국 음악의 전래 - 高麗伎·百濟伎·新羅伎를 중심으로
-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의 유입과 사용
- 한국고대사탐구 제49집 목차
- 渤海 문화에서 보이는 주요 唐 문화 요소
- 중국 唐鏡 장식기법의 발전과 통일신라 공예에 미친 영향
- 北魏 孝文帝의 禮制改革과 理想國家
- 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 해양사의 관점에서 본 백제 근초고왕의 새로운 이해
- 5세기 중·후반 고구려의 ‘大臣·强族’과 지방사회의 동향 - 평양 천도 이후 장수왕대 정치사에 대한 재검토
- 7세기 동아시아의 격변기와 天智天皇
- 신라의 사회통합과 외교전략의 리더, 태종무열왕
-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諸 세력의 고조선 계승 의식과 상호 인식
- 중국 고대 鐵鏡의 출토 양상과 시대별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백산학보 제131호 목차
- 『십육국춘추』 전연록의 기년 문제와 그 이해의 방향 - 고구려 환도성 함락 시점 문제를 중심으로
- 15세기 부민고소금지법의 시행과 운영의 추이 - 凌上⾵潮 억제와 下情上達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