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諸 세력의 고조선 계승 의식과 상호 인식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ense of Succession and Mutual Recognition of Various Forces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Three Kingdoms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남중(Nam-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9집, 351~393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한반도 일대에 일찍이 존재했던 세력들이 서로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고조선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한반도 일대에 일찍이 존재했던 종족은 크게 한, 예, 맥으로 부른다. 이중 예와 맥은 구분되어 쓰이기도 하지만 기원전 3세기 이후에는 예맥으로 붙여서 자주 사용되었다. 예맥이 합쳐진 것은 맥이 예 지역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고조선과 관련된 십이대영자 문화(정가와자 유형)가 동쪽으로 확산된 것과 관련되어 보인다. 한편, 청동기 시대 고고학적 상황으로 볼 때 한과 예는 크게 다른 세력이었다고 보기 어렵다. 점토대토기를 사용한 예맥의 일부가 한으로 유입되면서 한·예·맥의 융합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예·맥·한 지역에서 성장한 여러 세력은 고조선에 대해 특별한 의식이 있었다. 낙랑은 고조선 계승 의식을 지닌 세력이 주축을 이룬 사회였다는 점에서 고조선 그 자체로 인식되었다. 고조선 유민의 유입으로 이루어진 신라는 낙랑과도 긴밀한 관계를 지녔으며, 『삼국사기』에서 고조선이 지닌 성현의 나라라는 이미지까지 계승한 나라로 표현되었다. 낙랑을 병합한 고구려는 고조선·낙랑의 신앙 체계를 흡수하여 고조선을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천신의 후예로 인식하였으나 자신들보다 조금 낮은 서열의 국가로 파악하였다. 백제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고조선에 대해 우월 의식을 드러냈다.
부여·고구려와 백제, 낙랑과 신라 등이 동류의식을 지녔던 것과 마찬가지로 백제는 삼한의 일원이었던 신라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동류의식을 보였다. 동옥저와 고구려의 경우도 비록 예맥 지역에 있었지만 한과 크게 다른 종족이 아니었기 때문에 일찍부터 고조선을 매개로 삼한 세력과 동류의식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예맥과 한은 근원을 따져 올라가보면 다른 세력이라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일체감을 지녔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forces that existed earlier in the korean peninsula perceived each other, focusing on ancient joseon. The races that existed earlier in the korean peninsula are largely classified as han, ye, and maeg. Among them, ye and maeg are used separately, but after the 3rd century BC, they were often attached as yemaeg and used frequently. The combination of the letters ye and maeg appears to be due to the introduction of maeg into the ye area, and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zhengjiawazi type) related to ancient joseon to the east.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archaeological situation of the bronze age, it cannot be said that han and ye were very different forces. As part of the yemaeg using the clay-band rim pottery flowed into han, the fusion of han, ye, and maeg proceeded.
Several forces that grew up in ye, maeg, and han regions had a special consciousness about ancient joseon. Nakrang was recognized as ancient joseon itself in that it was a society led by the forces with a sense of succession to ancient joseon. Silla, which was made up of the influx of ancient joseon migrants, also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nakrang, and was expressed as a country that inherited the image of a country ruled by a saint ruler held by ancient joseon in samguksagi. Gogulyeo, who merged nakrang, absorbed the faith system of ancient joseon and nakrang and recognized ancient joseon as a descendant of heaven like them, but identified it as a country slightly lower than them. Bakje, like gogulyeo, showed a sense of superiority over ancient joseon.
Just as buyeo & gogulyeo and baekje, nakrang and silla had a sense of relatives, baekje showed some sense of relatives to silla, which was a member of samhan. In the case of east okjeo and gogulyeo, although they were in the yemaeg area, they were not of a very different species from han, so it seems that they had a sense of relatives with the samhan forces through ancient joseon. Yemaeg and han were perceived to be of the same species to some exten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y were different forces when considering the source.
목차
Ⅰ. 머리말
Ⅱ. 예·맥·한의 관계와 고조선
Ⅲ.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제 세력의 고조선 인식 방향
Ⅳ.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제 세력의 상호 인식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시대 중국 음악의 전래 - 高麗伎·百濟伎·新羅伎를 중심으로
-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의 유입과 사용
- 한국고대사탐구 제49집 목차
- 渤海 문화에서 보이는 주요 唐 문화 요소
- 중국 唐鏡 장식기법의 발전과 통일신라 공예에 미친 영향
- 北魏 孝文帝의 禮制改革과 理想國家
- 중국 靜志寺塔 舍利容器 구성과 舍利供養의 성격
- 해양사의 관점에서 본 백제 근초고왕의 새로운 이해
- 5세기 중·후반 고구려의 ‘大臣·强族’과 지방사회의 동향 - 평양 천도 이후 장수왕대 정치사에 대한 재검토
- 7세기 동아시아의 격변기와 天智天皇
- 신라의 사회통합과 외교전략의 리더, 태종무열왕
- 삼국 초기 한반도 일대 諸 세력의 고조선 계승 의식과 상호 인식
- 중국 고대 鐵鏡의 출토 양상과 시대별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백산학보 제131호 목차
- 『십육국춘추』 전연록의 기년 문제와 그 이해의 방향 - 고구려 환도성 함락 시점 문제를 중심으로
- 15세기 부민고소금지법의 시행과 운영의 추이 - 凌上⾵潮 억제와 下情上達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