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랩 창작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Design Thinking-Based Rap Composition Teaching Plan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라(Bora Kim) 이수연(Soo Yon Yi)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2권 제1호, 83~1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랩 창작 활동을 개발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후 환경 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자인씽킹 단계를 기반으로 랩 창작 수업지도안을 개발한 후 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34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2주간 총 4차시의 음악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참여 전후로 환경 소양 함양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활동의 1차시 공감 단계는 환경 문제와 관련된 음악 감상과 아바타만들기, 2차시 정의 단계는 특정 환경 문제에 대한 짧은 형식의 랩 가사 창작, 3차시 발상, 프로토타입 단계는 환경 문제 해결 방안을 주제로 랩 가사 창작, 4차시 적용 단계는 환경 보호를촉구하는 주제로 모둠별 창작한 랩 발표하기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음악 수업 참여 후 참여자들의 환경 소양 점수가 참여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환경 소양 하위 영역중 환경적 태도, 기능, 참여와 실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수업에 대해 랩 창작 활동이 흥미로웠고 수업 후 환경을 위한 행동과 지속적인 실천의필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환경 소양함양을 위해 디자인씽킹 교수법을 적용하여 랩 창작 활동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해 중학생의 환경 문제에 대한 공감과 실천적 행동을 함양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ap composition teaching plan focused o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 teaching plan based on design thinking stages was implemented with 34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ver a two-week period, students participated in four music classes. The teaching plan included listening to music and creating avatar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empathy), composing short rap lyrics on specific issues (define), creating rap lyrics suggesting solutions (ideate/prototype), and performing group raps to promote environmental protection (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particularly in attitude, skills, and practice subdomains. Students found the rap composition activity engaging and became more aware of the need for environmental ac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design thinking and music-based activities to fost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ction among adolesc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SM-5 개정 이후 ASD 아동 대상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 동향
- 국내ㆍ외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중학생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랩 창작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 Exploring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as a Self-Care Resource: Experienc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음악선호행동과 자기 개방성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중등 음악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DSM-5 개정 이후 ASD 아동 대상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 동향
- 국내ㆍ외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중학생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랩 창작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