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ㆍ외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이용수 25
- 영문명
- An Integrative Review of Music Interventions for Those With Los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아(Hyunah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2권 제1호, 55~8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실 경험자는 상실 이후 심리ㆍ정서적 어려움, 사회적 관계 단절, 삶의 의미 재구성 등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음악 중재의 전문적 지침 및 실천적방향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ㆍ외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 연구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음악 중재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임상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중재 방향과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 기준을 충족한 총 3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대상자 특성, 음악 사용 방식, 중재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효과적인 음악 중재를 위해서는 상실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 상실 경험자들이 상호 정서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는환경 조성, 복합적 감정의 표현 및 정서 조절 촉진, 그리고 음악 중재 제공자의 상실에 대한이해와 전문성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핵심 중재 요소들을 ‘상실 유형별 심리적 요구와 적응 과업을 반영한 개별화된 중재 구성’, ‘상실 경험의 공유와 상호 지지를촉진하는 그룹 기반 음악 중재’, ‘상실 경험자의 복합적 감정 표현과 정서 조절을 촉진하는음악 활용’, ‘상실 과정에 대한 이해 및 전문성을 갖춘 중재자의 역량’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를통해 본 연구는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가 임상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 상실 경험자의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중재 설계를 위한 근거를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Individuals with loss experience, loss often face complex challenges, inclu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tress, disrup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need to reconstruct life’s meaning.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systematic clinical guidelines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music interventions that effectively support this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n integrative review of Korean and English-written research on music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loss experiences, while identifying key components of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oposing applicable clinical strategies. A total of 39 studies were includ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effective music interventions require creation of emotionally supportive environments for mutual support, customized interventions based on the type of loss, facilitation of complex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and the provider’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grieving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four core components of effective music interventions: (1) individualized intervention reflecting the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tasks associated with type of loss, (2) group-based music interventions that promote the sharing of loss experiences and mutual support, (3) musical activities that facilitate the expression of complex emotions and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nd (4) intervention providers with expertise and understanding of the grief proc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concrete and applicabl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and offers evidence-based guidance for designing effective music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lo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랩 창작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 중등 음악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 DSM-5 개정 이후 ASD 아동 대상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 동향
- 국내ㆍ외 상실 경험자 대상 음악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Exploring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as a Self-Care Resource: Experienc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음악선호행동과 자기 개방성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2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