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수면의 질, 불안, 우울, 인지기능이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Influence of Sleep Quality, Anxiety,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n Sleep-Promoting Behaviors among the Elderl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구윤정(Yoon Jung Koo)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1호, 21~3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수면의 질, 불안, 우울, 인지기능, 수면증진행위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G도시에 위치한 지역 노인정 10곳을 대상으로 65세 이상, 질병진단을 받지 않은 노인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가족형태에 따라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인 주의집중(F=6.474, p=.002), 언어기능(4.471, p=.01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교육정도에 따라 우울(F=3.680, p=.008), 인지기능(F=9.734, p=.000), 지남력(F=11.828, p=.000), 주의집중(F=13.391, p=.000), 이해판단(F=3.655, p=.008), 수면증진행위(F=2.926,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있었다. 각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 수면의 질은 불안(r=-.422, p<.01)과 음의 상관관계, 우울(r=.552, p<.01)과 양의 상관관계이며, 인지기능의 경우 수면증진행위(r=-.254, p<.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인 주의집중(r=-.311, p<.01), 언어기능(r=.801, p<.01)은 수면증진행위와 양의 상관관계를, 이해판단(r=-.241, p<.05)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면의 질(B=.154, t=2.051), 지남력(B=.131, t=2.214), 주의집중(B=.145, t=2.256). 언어기능(B=.760, t=13.185)으로 그 설명력은 68.9%이다. 고령화에 맞는 맞춤형 노인 수면연구 및 교육모델이 요구되며 또한 수면증진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leep quality, anxiety,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sleep-promoting behaviors, and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these behaviors in older adults. Participants were 112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or older without diagnosed diseases, recruited from 10 senior centers in City 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leep quality, anxiety,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or sleep-promoting behaviors. However, attention (F=6.474, p=.002) and language function (F=4.471, p=.014) differed by family structure. Education level influenced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sleep-promoting behaviors. Sleep qua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r=-.422, p<.01) and positively with depression (r=.552, p<.01). Cognitive func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sleep-promoting behaviors (r=.254, p<.01), especially attention (r=.311, p<.01) and language (r=.801, p<.01), while comprehension/judg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r=-.241, p<.05). Sleep quality, orientation, attention, and language fun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68.9% of the varianc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interventions and education to enhance sleep-related behaviors in older adults amid population ag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윤정(Yoon Jung Koo). (2025).노인의 수면의 질, 불안, 우울, 인지기능이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21-32

MLA

구윤정(Yoon Jung Koo). "노인의 수면의 질, 불안, 우울, 인지기능이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5): 2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