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 구조모형 - 계획된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ructural Model of Clinical Nurses' Near Miss Reporting Behavior : Focused on Planned Behavior Theor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정미(Jeong Mi Park) 강경숙(Kyung Sook Ka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1호, 51~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연구이다. 방법: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임상간호사 336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13일부터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및 SmartPLS 4.0.8.4를 이용하여 경로가중치와 50,000회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가설검정 결과, 12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가 높을수록(B=.25), 근접오류 보고 장애가 낮을수록(B=-.29)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접오류 보고 의도가 높을수록(B=.51),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B=.18) 근접오류 보고 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환자안전사고 예방과 환자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간호사와 동료 간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들이 자발적으로 근접오류를 보고할 수 있도록 보고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접오류 보고 장애를 최소화하고, 근접오류 보고의 중요성 교육, 근접오류 보고율이 반영된 병원 정책 및 피드백 시스템의 구축, 간호사와 예비간호사 대상의 근접오류 보고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nurses' near-miss reporting behaviors and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o propose strategies for promoting near-miss reporting. Methods: The study used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clinical nurses with at least one year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3 to 27, 2023, with 358 nurses participating in an online survey.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336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SmartPLS 4.0.8.4, employing path weighting and 50,000 bootstrapping resampl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ttitudes of head nurses and colleagues, as well as reporting barri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report near-misses. In turn, the intention to report and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ignificantly impacted actual reporting behavior. Conclusion: To encourage near-miss reporting, it is essential to foster a positive patient safety culture and minimize barriers to reporting, thereby improving reporting rates and enhancing patient care efficien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문화연구 제41호 목차
- 건설현장의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가 아차사고(Near Miss) 발생 기인물에 미치는 영향 - 하인리히 1:29:300법칙 검증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중대재해 해석과 판결에 대한 영향 분석
-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마약류 알약탐지기법연구 - KAZE와 ORB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 페달보조방식 전기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교통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의 수면의 질, 불안, 우울, 인지기능이 수면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 구조모형 - 계획된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 소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문학 관광 공간 설계와 실감 미디어를 통한 지속 가능한 만남 - 가상증강현실 속 지속가능한 추억의 만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안전문화연구 제41호 목차
- 건설현장의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가 아차사고(Near Miss) 발생 기인물에 미치는 영향 - 하인리히 1:29:300법칙 검증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중대재해 해석과 판결에 대한 영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