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문학 관광 공간 설계와 실감 미디어를 통한 지속 가능한 만남 - 가상증강현실 속 지속가능한 추억의 만남

이용수  0

영문명
Lee Hyo-seok Buckwheat Flower, Sustainable Encounters Through a Literature Tourist Space Design and Immersive Media : Virtual Augmented Reality Sustainable Memories Meeting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윤종화(Jong Hwa Yoo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1호, 33~5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순수문학의 효시인 이효석의 단편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강원도 평창 봉평마을이 주요활동무대이다. 봉평마을을 배경으로 고전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하여 시간과 공간(Time & Space)의 스토리텔링(Story Telling)을 통해 관광공원을 조성하고, 실감 미디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 및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서 순수문학과의 만남을 통하여 다양한 의미의 “기억의 장소(Memorial Space)”로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1936년에 발표된 “메밀꽃 필 무렵”은 봉평이라는 특별한 장소에서의 추억 이야기를 전개하는 소설이다. 소설 속 허생원은 얼금뱅이에 왼손잡이로 나귀와 함께 장에서 장으로 5일 장을 떠돌아다니는 장돌뱅이이다. 허 생원은 어느 여름날 장사를 마치고 봉평 장에서 술을 마시다가 젊은 장돌뱅이 동이를 만나고, 메밀꽃이 가득한 길을 따라 허생원의 추억과 동이의 출생에 대한 이야기가 시간과 공간을 따라 전개된다. 본 연구는 작품 속 허생원과 동이가 메밀꽃이 만개한 길을 따라 전개되는 이야기를 시간과 공간으로 설계하고, 나귀, 이효석 생가, 문인들이 만나는 책방, 현대인의 추억으로 구성한다. 작품에서 허생원과 동이가 걸어가는 ‘길‘은 현대인이 겪는 삶의 의미이자 추억이며, 달빛에 비친 메밀꽃은 많은 사람들을 감동하게 만드는 공간이자 추억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특히 허생원과 동이가 걸으며 전개되는 '길'은 자연 친화적인 순우리말로서 사계절을 관광 공간으로 설계하고, 현대를 경험하지 못한 후손들에게 ’길‘이라는 공간에서 깊은 울림을 주며 가상현실에서 다가간다. 이처럼 이효석 문학관의 관광 공간(Tourist Space)은 '길'을 소재로 한 공간 이야기(Space Telling)로 설계되며, 메밀이 가득한 밭, 나귀, 이효석 생가터, 문인들의 책방 등 각 요소는 하나의 스토리 라인으로 연결된다. 가상현실 공간에서 '길'은 스토리 텔러 (Story Teller)가 되어 우리 후손과 전 세계인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문화유산으로 재창조된다. 문학은 과거 및 현실의 투영이며, 문학의 장소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단서이다. 고전의 정체성을 살린 시공간의 이야기를 통해 실감 미디어의 첨단 기술을 접목하고, 전시관, 문학촌, IT 교육관을 연결하는 테마 마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효석 문학관의 문화마을 조성, 책과 문학축제 개최, 음식과 볼거리, 즐길 거리 제공 등은 세계적인 명소로 과거-현재-미래를 연결하는 지속 가능한 만남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Lee Hyo-seok’s short story, When Buckwheat Blossoms Bloom, regarded as a pioneering work of modern Korean pure literature, primarily takes place in Bongpyeong Village, located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To preserve and highlight the classical identity of this literary work within its authentic setting, this project aims to create a tourist park through storytelling centered on “time and space.” By leveraging immersive media technologies—such a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the project seeks to create a multifaceted “Memorial Sp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pure literature from diverse and interactive perspectives. Published in 1936, When Buckwheat Blossoms Bloom poetically portrays nostalgic memories linked to the unique landscape of Bongpyeong Village. In the story, the protagonist, Heo Saeng-won, is a pockmarked, left-handed itinerant merchant who travels from market to market every five days, accompanied by his donkey. On a summer evening, after concluding his business at Bongpyeong Market, Heo meets a younger merchant named Dong-i. As they walk together along paths blooming with buckwheat flowers, their journey weaves together Heo’s recollections and the narrative surrounding Dong-i’s origins, seamlessly integrating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systematically designs the narrative journey of Heo Saeng-won and Dong-i along the buckwheat-blossomed road, enhancing it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storytelling. Essential elements—including the donkey, Lee Hyo-seok’s birthplace, bookstores frequented by literary figures, and contemporary memories—are structured into a coherent storyline. Within the narrative, the “road” that Heo Saeng-won and Dong-i traverse symbolizes modern life’s meaning and collective memory, while the buckwheat flowers bathed in moonlight represent a powerful, emotional space and metaphor for life itself. Significantly, this “road,” expressed through environmentally friendly, authentic Korean terms, is envisioned as a year-round tourist attraction designed to resonate profoundly with future generations who have not experienced the past firsthand, extending naturally into virtual environments. The tourist spaces of the Lee Hyo-seok Literature Museum, therefore, will adopt a “space-telling” approach, emphasizing the narrative concept of the “road.” Fields abundant with buckwheat flowers, the donkey, Lee Hyo-seok’s birthplace, and literary-themed bookstores will be seamlessly interlinked as elements of a single, immersive narrative. Within virtual reality, this “road” will act as a storyteller, transforming the experience into an enduring cultural heritage that deeply impresses visitors from around the globe and future generations. Literature mirrors both past and present, and literary sites serve as meaningful bridges connecting these temporal layers. Through stories crafted around time, space, and classic literary identity—enhanced by advanced immersive media technologies—this approach enables the creation of a themed village connecting exhibition halls, literary villages, and IT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the Lee Hyo-seok Literature Museum and surrounding area could become a globally recognized cultural destination, hosting literary festivals, providing regional cuisine, attractions, and entertainment, thus ensuring the past continues to thrive in the present while establishing sustainable connections to the future.

목차

Ⅰ. 이론적 배경
Ⅱ. ‘메밀꽃 필 무렵’의 ‘길’에 담은 콘텐츠와 구성론
Ⅲ. 지속 가능한 공간의 생명력; 봉평길과 증강현실 관광공간디자인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종화(Jong Hwa Yoon). (2025).소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문학 관광 공간 설계와 실감 미디어를 통한 지속 가능한 만남 - 가상증강현실 속 지속가능한 추억의 만남. 안전문화연구, (), 33-50

MLA

윤종화(Jong Hwa Yoon). "소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문학 관광 공간 설계와 실감 미디어를 통한 지속 가능한 만남 - 가상증강현실 속 지속가능한 추억의 만남." 안전문화연구, (2025): 3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