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용성을 고려한 염도측정기 디자인 제안 및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Suggest and Evaluate Salinity Meter Designs for U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장상(Xiang Zhang) 안혜신(Hye Shin Ah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1권, 201~2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 들어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환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질병의 원인 중 하나인 과도한 소금 섭취는 건강상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현재 모든 국가에서 저염식을 장려하고 있다. 저염식을 위해 사용되는 염분 측정기는 용액의 염분 함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산업, 농업, 사육 및 기타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염도측정기는 보관 및 사용 등의 사용성과 편의성, 심미성 등에 있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염도측정기 현황 분석과 제품 조사, 사용자 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염도측정기 디자인 제안을 위한 기초 조사를 진행하였다. 사용자는 회영(심미성), 편의성, 디스플레이. 터치 그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의 염도측정기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세 가지 디자인에 대하여 디자인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엔트로피 가중치 Topsis 종합 평가 방법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염도측정기 설계 평가 및 최적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최종안은 그립과 보관을 고려한 형태와 소재의 사용을 통한 위생 유지에 중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as also been increasing since the 21st century. Excessive salt intake, one of the causes of these diseases, is causing various health problems, and all countries are currently promoting low-salt diets. The salt meter used for low-salt diets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salt content of solutions and is widely used in industry, agriculture, breeding,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the salinity meter currently ha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usability, convenience, and aesthetics, especially for the user. This paper conducte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design of a salinity met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salinity meters, product research, and user research. Users consider the aesthetics, convenience, and display of the product. It was clear that the touch grip was important, and based on this, three designs for the salinity meter were proposed. The three proposed designs were evaluated by a design expert and combined with the entropy-weighted Topsis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to finally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and optimizing the salinity meter design. The final proposal focused on maintaining hygiene through the use of shapes and materia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grip and storage.
목차
Ⅰ. 서 론
Ⅱ. 염도측정기의 이해
Ⅲ. 사용자 조사 및 데이터 분석
Ⅳ. 염도측정기 디자인 제안 및 디자인 평가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1권 목차
- 투츠 진스키 작품론 - 필레 드 베르 기법 중심으로
- 액체금속의 예술 매체 활용 가능성 연구 - 갈륨으로 제작된 사례를 중심으로
- 평면에서 입체로 도약하는 리지스트 펠팅의 조형 원리와 적용 사례
- 생태미학적 바이오필릭 텍스타일 디자인의 개념과 사례 연구
- 비물질적 무게를 시각화한 조형예술작품 분석
- 동영상 기반 플립러닝을 활용한 공예 실기수업 설계 연구 - 기초금속공예 교과목을 중심으로
- SNS를 활용한 공예 작가 홍보 활동의 유형별 효과 분석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종묘 신주 가마의 제작 기술 방식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유형 분석 - 시각, 청각, 촉각, 음성 인식 기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 사용성을 고려한 염도측정기 디자인 제안 및 평가
- 텍스타일 디자인에서의 생체 기반 소재 활용 연구
- 전통 수레 제작술의 전승 현황과 과제 - 이민우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