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를 활용한 공예 작가 홍보 활동의 유형별 효과 분석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Individual Craft Artist for Exposure and Promotion : Focus on Instagram as the Main Social Media Platform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김우현(Woo-Hyun Kim) 최기(Ki Choi)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1권, 135~15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예 작가들의 SNS 홍보 전략에서 A컷 게시물과 정보성 게시물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당 창작 아케이드 신진 작가들의 SNS 활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작가는 A컷 중심의 작품 홍보 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정보성 게시물의 활용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공예 작품 구매자 및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연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보성 게시물은 소비자와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작품 가치를 높여 작품의 판매까지 이어지는 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작가와 작품을 처음 접하는 잠재적 소비자층에게는 A컷 게시물이 더 높은 홍보 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를 위해 A컷 게시물을 사용함과 동시에 기존 소비자와의 관계 강화를 위해 정보성 게시물을 적절히 업로드 하는 양방향 홍보방식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정보성 게시물의 다양한 홍보 기획 방식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모색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effects of A CUT posts and informative posts as part of craft artists' promotion strategies via social media on consumer respon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ising writers at Sindang Creative Arcade regarding their behaviors of social media utilization. The result shows that most artists prefer work promotion methods based on A Cut posts while the utilization of informative posts is insignificant. Based on this fact, interviews and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among craftwork purch asers and potential consumers. Informative posts were verified to be effective in forming an emotional fellowship with consumers and enhancing work values, leading to selling. On the other hand, A CUT posts showed more promotion effects on potential consumers who first met artists and their works. In conclusion, A CUT posts need to be utilized for promotion among new consumers with informative posts appropriately upload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existing consumers as an interactive promotion channel. The future study needs to more specifically classify various promotion planning methods for informative posts.

목차

Ⅰ. 서 론
Ⅱ. 공예 작가의 홍보 전략 및 SNS 활용 분석
Ⅲ. 구매 결정 요인 조사 및 홍보 사례 조사
Ⅳ. SNS 홍보 유형별 소비자 반응 비교 분석
V.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현(Woo-Hyun Kim),최기(Ki Choi). (2025).SNS를 활용한 공예 작가 홍보 활동의 유형별 효과 분석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8 (1), 135-154

MLA

김우현(Woo-Hyun Kim),최기(Ki Choi). "SNS를 활용한 공예 작가 홍보 활동의 유형별 효과 분석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8.1(2025): 135-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