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니체의 니힐리즘과 바르트의 ‘무(無)’에 대한 비교 연구
이용수 34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Nietzsche’s Nihilism and Barth’s Nothingness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박홍기(Hong Ki Park)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47집, 239~291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니힐리즘’은 니체 사상의 핵심 개념이다. 니힐리즘은 인간의 사유와 삶을 지배하는 초월적 절대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래서 절대 가치는 허구적 개념이며 반드시 탈가치화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니체의 니힐리즘은 가치 창조와 가치 전도(顚倒)가 반복하는 운동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인간 실존을 지배하는 필연적 논리이며 니체는 이를 ‘데카당스의 논리’라고 한다. 그런데 데카당스는 단지 삶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퇴폐주의가 아니라오히려 극단적 가치들이 교차하면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력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니체 니힐리즘은 니체 이후 신학 분야에서 칼 바르트가 비판적으로계승한다. 바르트는 니체의 니힐리즘 논리를 사용해 독일 신학을 전면 해체하고 새로운 신학을 수립하고자 한다. 니체의 니힐리즘 논리를 수용한 바르트의개념이 ‘무(無, das Nichtige)’다. 본고에서는 니체의 니힐리즘 운동 논리가 바르트의 ‘무’ 개념에 어떻게 반영되고 나아가 니힐리즘 극복 시도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Nihilism is a central concept in Nietzsche’s philosophy, signifying the absence of transcendent, absolute values that traditionally underpin human thought and existence. Nietzsche argues that such absolute values are fictitious constructs created for human survival and are inevitably subject to devaluation, a process he describes as the ‘revaluation of all values.’ This dynamic involves a cyclical interplay of value creation and inversion, which Nietzsche frames as the ‘logic of decadence.’ Far from signifying mere decline, decadence functions as a generative force enabling life through the intersection of extreme values. Following Nietzsche’s death, Karl Barth critically engaged with his nihilistic logic to deconstruct German theology and construct a new theological framework. Barth’s concept of ‘Nothingness’(das Nichtige) reflects Nietzsche’s dynamic logic of nihilism while reconfiguring it into a generative force within his theology. This study explores how Nietzsche’s philosophical logic of nihilism influenced Barth’s theological concept of ‘Nothingness’ and examines Barth’s attempt to transcend nihilism through this recontextualization.
목차
1. 문제제기: 프리드리히 니체와 칼 바르트는 왜 이 시대에 만나는가
2. 니체의 니힐리즘: 역사 지배의 운동 논리
3. 완성-파괴의 극단적 통일로서 니힐리즘
4. 니체 니힐리즘의 확산과 적용: 칼 바르트 신학의 ‘무(無)’
5. ‘무’의 극단적 모순: 불가능성의 가능성
6. ‘무’에 대한 단계적 해체: 니힐리즘의 극복 논리
7. 맺음말: 니체 니힐리즘의 극복 시도, 바르트의 ‘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