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이어바흐와 니체에 의한 몸의 복권
이용수 15
- 영문명
- Reclaiming of the Body by Feuerbach and Nietzsche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이재호(Jaeho Lee)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47집, 207~2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포이어바흐와 니체는 인간에 대한 이원론적 이해와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문제 제기를 선구적으로 시도했던 근대의 대표적인 철학자들로서, 그들은 이를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개념으로 ‘몸(Leib)’을 제안한다. 포이어바흐에게 존재는사유가 아닌 감성으로 파악되며 세계는 감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체감된 감성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포이어바흐의 감성적 인간학에서 몸은 세계와 인간을 매개하는 매개체이자 인간을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단서의 역할을 부여받는다. 니체 또한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적 인간 개념을 폐기하고 단일한 생명으로서의 몸 개념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자 한다. 니체의 큰 이성으로서의 몸은다수의 충동들이 발현하고 갈등하고 투쟁함으로써 힘을 쟁취하려 하는 힘에의의지를 위한 장(場)으로 드러난다. 본 논문은 포이어바흐의 감성에 입각한 몸과, 니체의 힘에의 의지에 입각한 몸을 다루고, 두 철학자가 어떤 맥락에서 중첩된 유사성을 가지는지에 주목하여 몸 개념을 비교, 고찰한다. 그 가운데서 두철학자의 몸 개념이 전통 형이상학에서 소외되어 왔던 몸의 의미를 어떻게 복권하여 몸에 기반한 인간학이라는 출발점을 공유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Feuerbach and Nietzsche are two of the leading modern philosophers who pioneered the challenge to dualistic understandings of humanity and rationalism, and they propose an alternative concept of the body (Leib) to overcome them. In Feuerbach’s sensual anthropology, the body is given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the world and the human being and a clue to a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Nietzsche also abandons the dualistic human concept of mind and body and seeks to understand human beings through the concept of the body as a unitary life. The body, as Nietzsche’s great reason, is revealed as an arena for the will to power, where multiple drives manifest themselves and struggle for power through conflict and struggle.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concepts of the body in Feuerbach’s sensibility based body and Nietzsche’s will-to-power based body concept, focusing on the overlapping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concepts of the body and revealing how they share the starting point of a body-based anthropology by reclaiming the meaning of the bod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성에서 몸으로
3. 인간과 몸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