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위기요인 및 지원체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f Mental Health Risk Factors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이희복(Heebok Lee) 이상희(Sang-Hee Lee) 고혜정(Hye-Jung Koh) 호종갑(Jong Gab Ho)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165~1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위기 현황 및 요인을 탐색하고 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증진 및 위기개입 지원 체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자살시도 및 정신건강 위기 발달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뷰 결과, 4개의 핵심범주와 2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자살 및 정신건강 위기 행동특성’으로 자해행동, 우울, 무기력, 감정조절문제, 자살행동의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지도개입 현황 및 어려움’으로 교사차원 및 학교차원, 교육청 및 지역사회기관과의 연계에서의 현황 및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발달장애학생 정신건강 위험요인’으로 가족기능 부전, 가족 내력, 유해환경, 학교 스트레스가 포함되었다. 넷째, ‘향후 필요한 지원체제’로 학교차원의 지원, 학교 외 관련기관과의 연계 지원, 가정 연계 지원, 의료 연계 지원, 제도적 지원, 교사 연수 지원, 기타 지원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은 심각한 우울, 무기력, 자살시도 등의 정신건강위기 행동특성을 보이며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위기 개입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취약성과 관련된 가족 및 학교의 위험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발달장애학생 정신건강 위기 선별도구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다. 아울러, 가정, 학교, 교육기관, 의료기관 등 관련 기관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이 시급히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ntal health crisis fact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support system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crisis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teachers. They had experience teaching wit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made suicid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crises. Results The research resulted in four core categories and 25 subtopics. The four core categories are comprised of: “Suicidal and Mental Health Crisis Behavioral Characteristics”,; “Current Guidance Interventions and Challenges,”; “Risk Factors for Mental Health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ecessary Support Systems in the Futur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ystem to identify and intervene in mental health crises amo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collaborating with relevant organizations, including families, schools, and medical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복(Heebok Lee),이상희(Sang-Hee Lee),고혜정(Hye-Jung Koh),호종갑(Jong Gab Ho). (2025).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위기요인 및 지원체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165-182

MLA

이희복(Heebok Lee),이상희(Sang-Hee Lee),고혜정(Hye-Jung Koh),호종갑(Jong Gab Ho). "발달장애학생의 정신건강 위기요인 및 지원체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165-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