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교원 직무 수행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현집(Hyun-Jib Kim)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87~10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교원의 직무 수행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 교원의 직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의 기초 자료의 역할을 하고, 이와 관련한 정책적·제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교원의 직무 수행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7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 동향 분석과 함께 질적 분석을 통해 장애인 교원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교원의 직무 수행 관련 어려움은 (1) 접근성과 교육 환경의 제약, (2) 행정 및 지원 체계의 미비, (3) 심리적·사회적 갈등, (4) 장애 유형별 차별화된 직무 수행의 어려움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개선 방안으로는 (1) 물리적 환경 개선, (2) 인적 지원 강화, (3) 행정 및 제도적 개선, (4) 교직 적응 및 전문성 향상, (5) 인식 개선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다섯 가지 방향이 도출되었다. 결론 장애인 교원에게 일관되고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이드라인 마련과 장애 유형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로 개선 방안의 효과성 검증 연구, 선진국의 최근 사례와 비교하는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their job performance and explore systematic improvement measures to provide policy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better support.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nalyzing 27 research papers on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identified challenges and improvement measures. Results The study classified the difficulties into four categories: (1) accessibility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2) deficiencies in administrative and support systems, (3)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nd (4) disability-specific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Correspondingly, five categories of improvement were identified: (1) physical environment enhancement, (2) strengthening human support, (3)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4) professional adaptation and development, and (5) awareness and social relationship building.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a standardized guideline and a tailored support system for teachers with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coul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asures and compare recent international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집(Hyun-Jib Kim). (2025).장애인 교원 직무 수행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87-108

MLA

김현집(Hyun-Jib Kim). "장애인 교원 직무 수행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87-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