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Experience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혜리(Hye-Ri Kim)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6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총 10편의 질적 연구물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절차에 근거하여 분석대상 논문에서 자료를 추출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과 주제분석법을 통해자료에서 주요 개념 및 주제가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써 8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적용대상인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모호한 개념 정의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준에 맞지 않는 내용과 높은 난이도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넷째, 치료와 교육 사이의 딜레마 다섯째, 대안적 교과교육을 향한 갈망 여섯째, 교사 전문성과 수업역량에 대한반성 일곱째,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 여덟째,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지원 요구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의 질적 내실화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과제를 논의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draw up measures to provide support.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meta-synthesis and a total of ten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p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this study, the main concepts and topics were then categorized by analyzing data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eight major topics were derived. The first was of an ambiguous concept definition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pplied to the curriculum. Second was the inappropriate contents and high level of difficulty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hird topic was the difficulties in curriculum reorganization. The fourth topic was dilemma between therapy and education. The fifth topic was the desire for alternative subject education. The sixth was reflection on teacher expertise and teaching competency. The seventh topic consisted of expectations for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The eighth was support needs for daily living activities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jor issues and solu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리(Hye-Ri Kim). (2025).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63-86

MLA

김혜리(Hye-Ri Kim).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6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