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자기평가조사지(PBIS-SAS)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이용수  2

영문명
Study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Self-Assessment Survey (PBIS-SA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a Delphi Technique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경옥(Kyoung Ock Park) 신윤희(Yunhee Shi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SW-PBIS의 자기평가조사(SAS)의 4개 영역 49개 문항을 번안하고 각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여 국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행동중재 혹은 행동분야의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긍정적 행동 중재(PBIS)에 풍부한 지식 및 경험을 지니고 있는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기법을 활용해 3차에 걸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렴도와 합의도, 그리고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1차 조사에서는 4개 영역 49개 문항에 대해 전문가 패널들의 대부분은 각 문항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한 번역 수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몇몇 문항에 대한 의역 제안 및 오역을 언급하였다. 2차델파이 조사의 전체 문항의 적절성 평균(M)은 4.67(SD=0.53)이었고, 각 문항별 평균은 4.1~4.9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별문항의 내용타당도 값(CVR)을 분석한 결과, Lawsh(1975)의 제안에 따라 전문가 패널 10 명일 때 임계치 0.62 이상인 문항은 총 49개 문항 중 46개 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델파이 조사 문항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정도를 확인한 결과, 전체 문항 평균(M)은 4.83(SD=0.37)로 2차 델파이 조사(M=4.62, SD=0.53)보다 전체적으로 상승하였고 의견의 차이도 줄었다. 개별문항별 내용타당도 값(CVR)을 분석한 결과, Lawsh(1975)가 제시한 전문가 패널 10명일 때 임계치인 0.62 이상인 문항이 총 46개 문항 중 2문항을 제외한44문항에서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은 삭제하고 문화에 맞게 문구를 수정하였으며, 국내의 학교문화와 체제에 맞게 문항을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4개 영역의 44개의 문항을 자기평가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the 49 items across four domains of the Self-Assessment Survey (SAS) used in 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SW-PBIS) and to validate the content validity of each item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Korea.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Delphi technique to conduct three rounds of survey research with 10 experts holding certifications in behavioral intervention or related fields and possessing extensiv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onvergence, consensus, and content validity were analyzed. Results The first-round analysis revealed that most expert panelists requested translation revisions for better clarity of the items and pointed out a few suggestions for paraphrasing or correcting mistranslations. In the second-round Delphi survey, the overall mean appropriateness of all items was 4.67 (SD = .53), with individual item means ranging from 4.1 to 4.9.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alysis, following Lawshe’s (1975) recommendations for a panel of 10 experts, showed that 46 out of 49 items met the threshold of 0.62 or higher. In the third-round Delphi survey, the overall item validity mean increased to 4.83 (SD = .37), higher than the second-round results (M = 4.62, SD = 0.53), and the differences in opinions were further reduced. The CVR analysis for individual items in the third round showed that 44 out of 46 items met the threshold of 0.62 or higher, excluding two item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contentious items were removed, and the wording was revised to align with cultural considerations. The items were further modified to fit the school culture and system in Korea, resulting in a finalized set of 44 items across four domains for self-assessme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옥(Kyoung Ock Park),신윤희(Yunhee Shin). (2025).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자기평가조사지(PBIS-SAS)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1-22

MLA

박경옥(Kyoung Ock Park),신윤희(Yunhee Shin).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자기평가조사지(PBIS-SAS)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