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easuring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구병모(Byungmo Ku)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23~3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부모의 신체활동(PA) 지원에 대한 제약요인을 조사하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2) 이러한 제약요인이 장애아동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의도 및 실제 지원 행동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문항 개발을 수행하였고, 2단계에서는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3단계에서는 현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제약 설문지(QBPPS-PCD)가 개발되었으며, 이 설문지는 세 개의 구성요소(construct)와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의도 및 실제 지원 행동을 측정하여 인식된 제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모델은 각 구성요소별 3개 문항씩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우수한 모델 적합도를 나타냈다([df = 24, p = .147], CFI = 0.99, TLI = 0.93, RMSEA = 0.05). 경로 분석 결과, 역량 장벽(competence barriers)은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의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β = -.28, p = .03)를 보였으며, 부모의 신체활동지원 의도는 실제 신체활동 지원 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β = .31, p < .001)를 나타냈다. 결론 QBPPS-PCD는 세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의도 및 실제 지원 행동과 다르게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는 부모의 역량 제약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1) to develop a questionnaire examining barriers to parental physical activity (PA) support and 2) to examine how barriers are associated with intention and parental PA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Phase I focused on item development, while Phase II addressed content validity. Phase III involved field testing. The Questionnaire for Barriers to Parental PA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QBPPS-PCD) was initially developed, comprising three constructs and 16 items. Additionally, parents’ intentions to support their child’s physical activity and their actual support behavior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ir association with perceived barriers. Results A final model with nine items (three items in each construct) was developed, which revealed an excellent model fit([df = 24, p = .147], CFI = 0.99, TLI = 0.93. RMSEA = 0.05). Pathway analysis indicated that competence barrier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ention (β = -.28, p = .03), which in turn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PA support (β = .31, p < .001). Conclusion The QBPPS for PCD consists of three construct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intention and parental PA support.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 tool for assessing parents’ competence barri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병모(Byungmo Ku). (2025).Measuring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23-38

MLA

구병모(Byungmo Ku). "Measuring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2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