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중등교사의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영문명
The Effect of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Disability Understand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유장군(Jang-Kun Yoo) 박수영(Su Yeong Park) 최현석(Hyun-Suk Choi)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2호, 147~1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중등교사의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9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설문 자료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일변량 분석방법에 기초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은 예비중등교사의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둘째, 가족 구성원 내 장애인 유무, 학창 시절 통합교육 경험 유무, 장애인 봉사활동 유무 변인도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배경변인이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과 관련된 인식변화를 견인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장애 관련 배경 및 경험이 통합교육 등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제공하는 주요 요인임을 제안하고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research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e on inclusive education,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8 college students(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took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The questionnaire data were subject to t-test for pre- and post-test and univariate analysis for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e was a major factor in driving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and the pres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amily, the presence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 during school, and the presence of volunteer work for the disabled were also major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ed the changes in the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plays a decisive role in changing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장군(Jang-Kun Yoo),박수영(Su Yeong Park),최현석(Hyun-Suk Choi). (2025).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중등교사의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2), 147-164

MLA

유장군(Jang-Kun Yoo),박수영(Su Yeong Park),최현석(Hyun-Suk Choi).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중등교사의 통합교육인식, 장애이해, 교수학습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2(2025): 147-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