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lassic Coalition Theories Revisit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rties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공공선택학회
- 저자명
- 김재한(Chae-Han Kim)
- 간행물 정보
- 『공공선택학저널』제4권 제1호, 127~1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전적 정당 연합이론은 연역적 논리 구조로 기여도가 인정되지만, 현실 정치에 등장하는 연립정부는 이론의 예측 그대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연구는 연립내각에 참여하는 모든 정당에 대한 집합적 예측 대신에, 개별정당의 연립정부 참여 여부에 대한 예측으로 고전적 연합이론을 검증한다. 정당은 정책이념이 자신과 유사한 정당을 연합 파트너로 선호한다. 또 연립내각을 추진하는 정당은 의회 내 다수 확보에 도움이 될 정도로 일정 규모 이상의 큰 정당을 연합 파트너로 선호하지만, 동시에 연립내각의 정책 이념에 상당한 영향을 줄 정도로 지나치게 큰 정당을 연합 파트너로 선호하지 않는다. 개별정당이 연립정부에 포함될지는 정당 간 이념 연결성보다 정당 의석비로 더 잘 설명된다. 연합이론의 예측력은 연합 구성의 집합적 단위보다 개별정당 단위에서 더 향상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uts classic coalition theories to the unconventional task of predicting the entry of individual parties into coalitions. Coalition theories are evaluated by testing predictions about the presence in cabinet of individual parties, rather than predictions of the full partisan composition of the cabinet. It is found that a party prefers another party closer to its own most preferred position, on a given spectrum, and that a party of initiative prefers to coalesce with the party that is large enough to form a majority but not large enough to influence the policy position of the coalition. A curvilinear regression of a party’s share of seats better explains the probability of the party belonging to the government coalition than does connectivity. The predictive power of coalition theories can be improv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rties instead of the level of collective form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From Collective Formation to Individual Choices
Ⅲ. Research Design
Ⅳ. Finding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선택학저널 제4권 제1호 목차
- 세외수입의 정치적 경기순환 : 세외수입 집행과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 [서평] Gordon Tullock, The Social Dilemma: The Economics of War and Revolution (Center for Study of Public Choice, 1974, 143 pages)
- 안심소득의 이론과 실제
- The Impact of Intergovernmental Agricultural Aid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rade: The Case of Korea and Angola
- 객관적 강점과 상호의존적 선호: 게임 이론적 분석
- 국내 휘발유 가격의 비대칭성과 변동성 간의 관계
- Classic Coalition Theories Revisit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rt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