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외수입의 정치적 경기순환 : 세외수입 집행과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이용수 10
- 영문명
- Political Business Cycle in Non-Tax Revenue: Local Elections in Korea
- 발행기관
- 공공선택학회
- 저자명
- 윤상호(SangHo Yoon)
- 간행물 정보
- 『공공선택학저널』제4권 제1호, 15~4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태료 부과 등과 같은 세외수입의 집행에 정치적 동기가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기초적 증거를 제시한다. 재선에 도전하는 현직 지방자치단체장이 선거 전략의 일환으로 지방행정제재·부담금의 징수 강도를 조정한다고 설정한 본 연구의 가설은 정치적 경기순환과 관련된 국내 자료를 구축해 아직 검증된 바가 없다. 특히 세출 항목을 활용한 경기 부양이 아니라 세입 항목을 통한 페널티 정책을 선거 전략으로 고려해 정치적 순환 현상을 분석한 국내 연구는 아직은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가용한 통계자료의 한계로 인해 재임자의 재선 도전 여부에 따른 선거구 간 차이를 명확히 확인하지는 못했으나,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세외수입과 같은 세입 항목 역시 세출 항목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선거 전략의 일부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 preliminary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enforcement of non-tax revenues, such as the imposition of fines, may be influenced by political motivations. In particular, I hypothesize that incument governors or majors seeking reelection may adjust the intensity of administrative sanctional charges as a part of their election strategy. The analysis on political business cycle has usually focused on the variation in government expenditures from electoral cycles, but has neglected that the exercise of issuing various penalties may also be dependent on electoral cycles. While unable to clearly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cts with and without incumbents seeking reelection, this paper presents the evidence that administrative penalties and non-tax revenues from them may be strategically utilized for electoral purposes, similar to government expenditures.
목차
Ⅰ. 연구배경
Ⅱ. 세외수입과 정치적 경기순환
Ⅲ. 지방자치단체의 세외수입과 실증분석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선택학저널 제4권 제1호 목차
- 세외수입의 정치적 경기순환 : 세외수입 집행과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 [서평] Gordon Tullock, The Social Dilemma: The Economics of War and Revolution (Center for Study of Public Choice, 1974, 143 pages)
- 안심소득의 이론과 실제
- The Impact of Intergovernmental Agricultural Aid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rade: The Case of Korea and Angola
- 객관적 강점과 상호의존적 선호: 게임 이론적 분석
- 국내 휘발유 가격의 비대칭성과 변동성 간의 관계
- Classic Coalition Theories Revisit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rt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