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이후 추가적인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기업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이용수  42

영문명
The Impact of Additional Audit Efforts on Audit Quality After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Audit Time System:Focusing on Corporate Governance
발행기관
한국회계정보학회
저자명
허우경(Woo-Kyung Heo) 김인중(In-Jung Kim) 김수인(Su-In Kim)
간행물 정보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5권 제1호, 173~1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논문은 표준감시사간제도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지배구조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감사품질의 대용치로는 재량적발생액의 절대값을 사용하였으며, 감사노력은 실제감사시간과 표준감사시간의 차이를 활용하였다. 지배구조의 대용치로는 한국지배구조원(KCGS)에서 제공하는 ESG점수를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구조에 따라 차별적으로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총 3353개 기업-연도 데이터를 가지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사노력은 감사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표준감사시간제도가 도입된 이후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ESG는 기업지배구조의 경우에만 감사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책임경영이나 환경경영은 감사품질과 관련이 없었다.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을 개선하는 효과는 기업지배구조가 낮은 기업에서만유의하게 나타나고 지배구조가 양호한 기업에서는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 표준감사시간제도는 기업의 특성 및 감사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다. 2025년부터 적용되는 표준감사시간 가이드라인에서는 기업의 지배구조나 디지털 감사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표준감사시간을 낮추어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본 논문은 감사품질과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지배구조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2025년부터 적용되는 표준감사시간제도 개정가이드 라인의 실증적인 결과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impact of the standard audit time system on audit quality varies based on th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firms [Methodology]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was used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while audit effort was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udit hours and standard audit hours. For the proxy of corporate governance, the ESG score provided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was utili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udit effort on audit quality,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quality,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audit effort on audit quality varies depending on corporate governance. [Findings] Based on a total of 3,353 firm-year data from 2014 to 2019,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udit effor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udit quality, and this effect becam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andard audit time system. ESG was found to improve audit quality only in cases of corporate governance, whil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howed no correlation with audit quality. The effect of audit effort on improving audit quality was significantly observed only in firms with lower corporate governance, while no improvement in audit quality was noted in firms with good governance [Implications] The standard audit time system has faced continuous criticism for its inabilit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and changes in the audit environment. The standard audit time guidelines, which will be applied starting in 2025, have been improved to allow for a reduction in standard audit time when factors like corporate governance and digital auditing techniques are appl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empirical results regarding the revised standard audit time guidelines that will be implemented in 2025 by analyzing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quality and audit ti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Ⅲ. 연구모형과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우경(Woo-Kyung Heo),김인중(In-Jung Kim),김수인(Su-In Kim). (2025).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이후 추가적인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기업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25 (1), 173-199

MLA

허우경(Woo-Kyung Heo),김인중(In-Jung Kim),김수인(Su-In Kim).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이후 추가적인 감사노력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기업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25.1(2025): 17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