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부자거래의 미공개중요정보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 재무성과정보를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Property of Trading on the Basis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in Insider Trading:Focusing on 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기도훈(Do-hoon Ki)
- 간행물 정보
-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5권 제1호, 83~1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내부자거래에 관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내부자의 지위(CEO vs non-CEO), 거래 유형(내부자매도, 내무자매수) 별로 기업의 미공개주요정보(성과 전망)에 대한 이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성과정보의 산출 단계(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별로 내부자거래 미공개정보 이용에 차이가 있는지알아본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분석기간에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 기업이 공시한“임원 등의 특정증권등 소유상황 보고서” 정보를 수집하여 거래시점에 공개되지 않은분기결산 정보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내부자거래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기간 개시 시점 이후 상장 폐지 기업은 상장 폐지 이전 시점까지 관측치를 표본에 포함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내부자거래 변수의 측정 방법 및 표본의 선정기준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부자는 외부자와 달리 특정주식 등 거래에 미공개 성과정보를 매우 체계적으로 이용하며 특히, 매수거래보다 매도거래에서 기업의 미공개 성과정보를더욱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자 수준별로 CEO인 내부자보다non-CEO인 내부자가 미공개 성과정보를 더욱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부자는 적시적인(분기) 내부 성과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매출액의 증감정보를 내부거래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내부자거래 규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여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중요하게 훼손하였음을 보여주며, 관련 규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도거래 및 non-CEO인 임원에 대한 내부자거래 제한 및 모니터링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the 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insiders transaction types, and different performance information.
[Methodolog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llected share change data from DART. This study analyses companies listed on and delisted from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11 to 2018.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empirical results, multiple methods for measuring insider trading variables and criteria for sample selection were utilized.
[Findings] First, unlike external parties, insiders systematically utilize nonpublic both revenue and profit information in trading, especially, in selling compared to buying. Second, non-CEOs utilize nonpublic performance information more extensively than CEOs. Third, insiders have timely access to internal performance information and primarily use changes in revenue information for their insider trading activities.
[Implica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se regulat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place greater focus on restricting and monitoring insider trading, particularly in sell transactions and among non-CEO execu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모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법인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적용의 개선방안: 평가기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