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the US Military's Operational Concep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OK Military : Focusing on Air-Land Operations and Multi-Domain Operation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영규(Younggyu Lee) 권영석(Youngseok Kwon)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249~28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정을 통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이 개발되고 발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그 과정 속에 유의미한 교훈을 찾아 한국군에 적용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 육군의 공지작전은 베트남 전쟁의 실패와 4차 중동전쟁의 교훈을 토대로, 다영역작전은 러시아와 중국의 A2AD 전략과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정에서 교훈을 토대로 발전되었다. 당시 미 육군의 교육사령부와 미래사령부가 창설됨으로써 새로운 작전수행개념인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이 성공적인 발전이 가능했고 전투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초대 교육사령관 드푸이 대장과 초대 미래사령관 머레이 대장은 공군과 해군, 해병대 등 타군 및 산·학·연, 동맹군과의 협업체계를 이끌면서 미 정부의 지원을 받았기에 가능했다. 이러한 미 육군의 노력은 한국군에 많은 의미를 던져주고 있는데, 한반도 안보환경에 부합된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이를 발전시킬 전담부대를 개편하고, 추동력 유지를 위한 범정부적인 협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ir-Land operations and multi-domain opera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US military's operational concept, finds meaningful lessons in the process, and suggests dire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K military. The US Army's Air-Land opera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essons from the failure of the Vietnam War and the Fourth Middle East War, while multi-domain opera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lessons from the Russian and Chinese A2AD strategies and the Russian annexation of the Crimean Peninsula. At that time,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rmy's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Futures Command allowed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new operational concepts, such as Air-Land operations and multi-domain operations,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combat development. In addition, the first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commander, General DePuy, and the first Futures Command commander, General Murray, were able to lead a collaborative system with other military branches such as the Air Force, Navy, and Marine Corps, as well as industry, academia, research, and allied forces, and received support from the U.S. government. These efforts by the U.S. Army are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Korean military. In order to develop an operational concept that is suitable for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reorganize the unit structure, which is a dedicated organization to develop it, and to maintain momentum, cooperation across the government is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의 틀
Ⅲ. 미군의 공지작전 개념 발전과정 분석
Ⅳ. 미군의 다영역작전 개념 발전과정 분석
Ⅴ. 결론 : 한국군에 주는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 전략연구 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목차
- 한미 확장억제협의체 발전과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억제와 비확산의 이중적 성격을 중심으로
- 북한의 핵전략 전망: ‘핵-비핵전략무기 연계’와 ‘신배합전략’
- 핵 잠재력과 전략적 효용성 : 주요 사례, 한국 안보에의 시사점
- 국방(군) 책임운영기관의 ESG경영 도입방향 연구: 육군 종합정비창 사례를 중심으로
- 워리어(warrior) 중심의 전투로봇 설계방안 및 운용개념에 관한 연구
-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 필요성 연구
- 러시아의 간접전략과 서방의 대응: 2014년 크림반도 병합과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전략적 효과 차이 분석
- 글로벌 사우스 지정학 : 추동 요인 추적과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