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 필요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Construction of the Army Complex Public Relations and Cultur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고성진(Sungjin Ko) 최재호(Jaeho Choi) 박영진(Yeo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141~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무형전력 강화와 육군의 전략적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육군의 홍보와 장병들의 문화적 소외환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복합홍보문화관 건립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육군의 홍보문화활동 실태 분석과 전시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관련 이론을 검토하였고, 타기관 및 단체에서 운영 중인 다양한 홍보문화관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에 필요한 기본구상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히 일방적 홍보를 위한 전시가 아니라 스토리가 있는 텔링형 전시를 통해 관람객이 이야기 속에 몰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홍보관 운영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육군 홍보문화관 건립의 기본구상에 반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략적 측면에서 시설 건립에 필요한 예산확보방안 등에 대한 제언을 제공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romotional cultural center for the Army, with the aim of enhancing intangible military capabilities and supporting the Army’s strategic operations. This facility is designed to mitigate the cultural isolation of service members whil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the Army’s public relations framework. The study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Army’s promo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and reviews theoretical frameworks related to exhibition design and brand communication. Additionally, case studies of promotional cultural centers operated by other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examined to derive fundamental design concepts for the proposed Army facilit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ransitioning from conventional, one-directional promotional exhibits to narrative-driven, immersive displays can significantly improve audience engagement, thereby optimizing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promotional center. These findings were incorporated into the foundational design framework for the Army’s promotional cultural center. Moreover, this research substantiates the strategic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the center's construction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essential for its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육군 홍보문화활동 실태와 복합홍보문화관의 필요성
Ⅲ.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방향 및 제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 전략연구 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목차
- 한미 확장억제협의체 발전과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억제와 비확산의 이중적 성격을 중심으로
- 북한의 핵전략 전망: ‘핵-비핵전략무기 연계’와 ‘신배합전략’
- 핵 잠재력과 전략적 효용성 : 주요 사례, 한국 안보에의 시사점
- 국방(군) 책임운영기관의 ESG경영 도입방향 연구: 육군 종합정비창 사례를 중심으로
- 워리어(warrior) 중심의 전투로봇 설계방안 및 운용개념에 관한 연구
-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 필요성 연구
- 러시아의 간접전략과 서방의 대응: 2014년 크림반도 병합과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전략적 효과 차이 분석
- 글로벌 사우스 지정학 : 추동 요인 추적과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