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로벌 사우스 지정학 : 추동 요인 추적과 정책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Tracing Drivers for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반길주(Kiljoo Ban)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105~14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도기 국제질서 속에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가 영향력을 높이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 부상의 추동체는 무엇일까? 글로벌 사우스는 냉전기 제3세계와 어떻게 차별화되고 있는가? 그 해답은 국제적 변수와 행위적 변수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국제적 차원에서는 신냉전에서는 ‘블록(Bloc)’이 아닌 ‘진영(League)’ 차원으로 양분화된다는 점에서 단절 강도가 냉전보다는 낮다. 느슨하나마 연결되다 보니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이 각 진영의 주도권 장악 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구도에 놓인다. 행위적 차원에서는 제3세계와 달리 글로벌 사우스는 가시적인 주도국이 있어 독자적 전략 추진이 용이하고 보유하고 있는 물질적 자산도 강건하며 잠재적 성장 가능성도 높다. 물론 글로벌 사우스를 구성하는 국가는 빈부격차, 관심영역 차이 등 통합 저해요소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상기 두 개 변수의 기제로 인해 글로벌 사우스의 영향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도 인도-태평양전략, GPS 기반의 포괄적 외교전략과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전략적, 외교적 승수효과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mid the transitional international politics, the Global South is gaining ground while it rises to the influential players in the world. If then, what drives it? What makes the Global South differentiated from the Third World in the Cold War? On the one hand, the level of decoupling is weaker in the New Cold than in the Cold War, which motivates each league to step up the cooperation with the Global South in an effort to seize the initiative. On the other hand, its autonomy-based strategy and manageable assets are noteworthy as opposed to the Third World,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variable of an actor. Although it is true that some factors such as differences in areas of interest prevent its members from being more integrated, the above two drivers are most likely to enhance its prestige for the time being. Accordingly, South Korea needs to achieve strategic and diplomatic synergy while linking its policy with the Global South with its GPS-based comprehensive diplomatic strategy and its Indo-Pacific Strateg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분석적 프레임워크
Ⅲ. A 사례 추적 : 냉전과 제3세계
Ⅳ. D 사례 추적 : 신냉전과 글로벌 사우스
Ⅴ. 결론 : 학문적·정책적 함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 전략연구 제32권 제1호(통권 제95호) 목차
- 한미 확장억제협의체 발전과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억제와 비확산의 이중적 성격을 중심으로
- 북한의 핵전략 전망: ‘핵-비핵전략무기 연계’와 ‘신배합전략’
- 핵 잠재력과 전략적 효용성 : 주요 사례, 한국 안보에의 시사점
- 국방(군) 책임운영기관의 ESG경영 도입방향 연구: 육군 종합정비창 사례를 중심으로
- 워리어(warrior) 중심의 전투로봇 설계방안 및 운용개념에 관한 연구
- 육군 복합홍보문화관 건립 필요성 연구
- 러시아의 간접전략과 서방의 대응: 2014년 크림반도 병합과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전략적 효과 차이 분석
- 글로벌 사우스 지정학 : 추동 요인 추적과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NATO의 AI 전략 순항 및 제약 요인 분석: 월트의 위협균형 기반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 미군의 작전수행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공지작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Space Power: Focusing on the Utilization and Competition of Defense Space Pow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