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77

영문명
The Impact of Corporate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and Career Adaptability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김환영(Hwanyeong Kim) 박지원(Jiwon Park)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1호, 131~1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기업 및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 조직구성원은 조직 내 경력개발에 의존하기보다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경력을 관리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며, 경력성공에 있어서도 스스로 느끼는 일과 경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의미를 두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근로자가 직무에서 느끼는 주관적 경력성공을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직접효과 및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근로자 30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속학습활동 및 경력적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에서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각각의 매개효과 및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As corporate and social environments continue to evolve, employees are increasingly taking a proactive approach to managing their own careers rather than relying on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while career success is also shifting toward a more subjective evaluation based on individual perceptions of work and career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subjective career success as a key factor i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explores the factors that facilitate it.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rect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and career adaptability. To achieve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using data from 308 corporate employe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rect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both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and career adaptability, as well as their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환영(Hwanyeong Kim),박지원(Jiwon Park). (2025).기업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20 (1), 131-159

MLA

김환영(Hwanyeong Kim),박지원(Jiwon Park). "기업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지속학습활동과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20.1(2025): 131-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