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와 조직개발, 조직학습에 관한 통합적 문헌분석
이용수 119
- 영문명
- Integrated Literature Analysis on AI,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정기섭(Ki-Sup Jung) 송혜수(Hae-Soo Song) 오석영(Seok-Young Oh)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1호, 161~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조직개발과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재편하고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AI는 조직개발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으며 조직 구성원의 학습과 학습 내용의 조직 적용을 지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해당 연구는 AI와 관련된 조직개발과 조직학습 분야의 문헌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해당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 주제별 논의에 나타난 특징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AI와 조직개발, 조직학습 관련 국문과 영문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해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총 36편의 논문을 선정했다. 해당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 연구대상, 연구 주제별 특징을 분석했으며, AI의 적용이 조직개발과 조직학습에 미치는 주요 영향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업무 자동화 및 효율성 향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맞춤형 학습, 문제 해결능력 향상, 리스크 관리, 데이터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 등 총 6가지 상위 개념과 32개의 하위 개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I와 연계된 조직개발과 조직학습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n organizational development (OD)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L)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existing AI-related literature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A total of 36 relevant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keyword search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databases using both Korean and English search terms related to AI, OD and OL.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and key thema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6 upper-level concepts and 32 lower-level concepts were identified, including task autom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data-based decision-making, customiz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risk management, data ethic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intend to contribute to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linked to AI.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